Skip to content

Commit 75a14df

Browse files
committed
2023-03-26 백준 문제풀이
1 parent 9bb1b61 commit 75a14df

File tree

6 files changed

+140
-0
lines changed

6 files changed

+140
-0
lines changed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0,0 +1,32 @@
1+
# [Gold III] 내리막 길 - 1520
2+
3+
[문제 링크](https://www.acmicpc.net/problem/1520)
4+
5+
### 성능 요약
6+
7+
메모리: 43716 KB, 시간: 160 ms
8+
9+
### 분류
10+
11+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그래프 이론, 그래프 탐색, 깊이 우선 탐색
12+
13+
### 문제 설명
14+
15+
<p>여행을 떠난 세준이는 지도를 하나 구하였다. 이 지도는 아래 그림과 같이 직사각형 모양이며 여러 칸으로 나뉘어져 있다. 한 칸은 한 지점을 나타내는데 각 칸에는 그 지점의 높이가 쓰여 있으며, 각 지점 사이의 이동은 지도에서 상하좌우 이웃한 곳끼리만 가능하다.</p>
16+
17+
<p style="text-align: center;"><img alt="" src="https://upload.acmicpc.net/0e11f3db-35d2-4b01-9aa0-9a39252f05be/-/preview/" style="width: 151px; height: 122px;"></p>
18+
19+
<p>현재 제일 왼쪽 위 칸이 나타내는 지점에 있는 세준이는 제일 오른쪽 아래 칸이 나타내는 지점으로 가려고 한다. 그런데 가능한 힘을 적게 들이고 싶어 항상 높이가 더 낮은 지점으로만 이동하여 목표 지점까지 가고자 한다. 위와 같은 지도에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경로가 가능하다.</p>
20+
21+
<p style="text-align: center;"><img alt="" src="https://upload.acmicpc.net/917d0418-35db-4081-9f62-69a2cc78721e/-/preview/" style="width: 151px; height: 123px;"> <img alt="" src="https://upload.acmicpc.net/1ed5b78d-a4a1-49c0-8c23-12a12e2937e1/-/preview/" style="width: 151px; height: 121px;"> <img alt="" src="https://upload.acmicpc.net/e57e7ef0-cc56-4340-ba5f-b22af1789f63/-/preview/" style="width: 151px; height: 121px;"></p>
22+
23+
<p>지도가 주어질 때 이와 같이 제일 왼쪽 위 지점에서 출발하여 제일 오른쪽 아래 지점까지 항상 내리막길로만 이동하는 경로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p>
24+
25+
### 입력
26+
27+
<p>첫째 줄에는 지도의 세로의 크기 M과 가로의 크기 N이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이어 다음 M개 줄에 걸쳐 한 줄에 N개씩 위에서부터 차례로 각 지점의 높이가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M과 N은 각각 500이하의 자연수이고, 각 지점의 높이는 10000이하의 자연수이다.</p>
28+
29+
### 출력
30+
31+
<p>첫째 줄에 이동 가능한 경로의 수 H를 출력한다. 모든 입력에 대하여 H는 10억 이하의 음이 아닌 정수이다.</p>
32+

wowseok/백준/Gold/1520. 내리막 길/내리막 길.py

Whitespace-only change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0,0 +1,28 @@
1+
# [Silver II] 랜선 자르기 - 1654
2+
3+
[문제 링크](https://www.acmicpc.net/problem/1654)
4+
5+
### 성능 요약
6+
7+
메모리: 31256 KB, 시간: 96 ms
8+
9+
### 분류
10+
11+
이분 탐색, 매개 변수 탐색
12+
13+
### 문제 설명
14+
15+
<p>집에서 시간을 보내던 오영식은 박성원의 부름을 받고 급히 달려왔다. 박성원이 캠프 때 쓸 N개의 랜선을 만들어야 하는데 너무 바빠서 영식이에게 도움을 청했다.</p>
16+
17+
<p>이미 오영식은 자체적으로 K개의 랜선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K개의 랜선은 길이가 제각각이다. 박성원은 랜선을 모두 N개의 같은 길이의 랜선으로 만들고 싶었기 때문에 K개의 랜선을 잘라서 만들어야 한다. 예를 들어 300cm 짜리 랜선에서 140cm 짜리 랜선을 두 개 잘라내면 20cm는 버려야 한다. (이미 자른 랜선은 붙일 수 없다.)</p>
18+
19+
<p>편의를 위해 랜선을 자르거나 만들 때 손실되는 길이는 없다고 가정하며, 기존의 K개의 랜선으로 N개의 랜선을 만들 수 없는 경우는 없다고 가정하자. 그리고 자를 때는 항상 센티미터 단위로 정수길이만큼 자른다고 가정하자. N개보다 많이 만드는 것도 N개를 만드는 것에 포함된다. 이때 만들 수 있는 최대 랜선의 길이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p>
20+
21+
### 입력
22+
23+
<p>첫째 줄에는 오영식이 이미 가지고 있는 랜선의 개수 K, 그리고 필요한 랜선의 개수 N이 입력된다. K는 1이상 10,000이하의 정수이고, N은 1이상 1,000,000이하의 정수이다. 그리고 항상 K ≦ N 이다. 그 후 K줄에 걸쳐 이미 가지고 있는 각 랜선의 길이가 센티미터 단위의 정수로 입력된다. 랜선의 길이는 2<sup>31</sup>-1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p>
24+
25+
### 출력
26+
27+
<p>첫째 줄에 N개를 만들 수 있는 랜선의 최대 길이를 센티미터 단위의 정수로 출력한다.</p>
28+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0,0 +1,21 @@
1+
import sys
2+
3+
input = sys.stdin.readline
4+
K, N = map(int, input().split())
5+
6+
lan = [int(input()) for _ in range(K)]
7+
8+
9+
start, end = 1, max(lan)
10+
11+
while start <= end:
12+
mid = (start + end) // 2
13+
cnt = 0
14+
for i in range(K):
15+
cnt += lan[i] // mid
16+
17+
if cnt >= N:
18+
start = mid + 1
19+
else:
20+
end = mid - 1
21+
print(end)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0,0 +1,30 @@
1+
# [Silver II] 나무 자르기 - 2805
2+
3+
[문제 링크](https://www.acmicpc.net/problem/2805)
4+
5+
### 성능 요약
6+
7+
메모리: 259740 KB, 시간: 540 ms
8+
9+
### 분류
10+
11+
이분 탐색, 매개 변수 탐색
12+
13+
### 문제 설명
14+
15+
<p>상근이는 나무 M미터가 필요하다. 근처에 나무를 구입할 곳이 모두 망해버렸기 때문에, 정부에 벌목 허가를 요청했다. 정부는 상근이네 집 근처의 나무 한 줄에 대한 벌목 허가를 내주었고, 상근이는 새로 구입한 목재절단기를 이용해서 나무를 구할것이다.</p>
16+
17+
<p>목재절단기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상근이는 절단기에 높이 H를 지정해야 한다. 높이를 지정하면 톱날이 땅으로부터 H미터 위로 올라간다. 그 다음, 한 줄에 연속해있는 나무를 모두 절단해버린다. 따라서, 높이가 H보다 큰 나무는 H 위의 부분이 잘릴 것이고, 낮은 나무는 잘리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한 줄에 연속해있는 나무의 높이가 20, 15, 10, 17이라고 하자. 상근이가 높이를 15로 지정했다면, 나무를 자른 뒤의 높이는 15, 15, 10, 15가 될 것이고, 상근이는 길이가 5인 나무와 2인 나무를 들고 집에 갈 것이다. (총 7미터를 집에 들고 간다) 절단기에 설정할 수 있는 높이는 양의 정수 또는 0이다.</p>
18+
19+
<p>상근이는 환경에 매우 관심이 많기 때문에, 나무를 필요한 만큼만 집으로 가져가려고 한다. 이때, 적어도 M미터의 나무를 집에 가져가기 위해서 절단기에 설정할 수 있는 높이의 최댓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p>
20+
21+
### 입력
22+
23+
<p>첫째 줄에 나무의 수 N과 상근이가 집으로 가져가려고 하는 나무의 길이 M이 주어진다. (1 ≤ N ≤ 1,000,000, 1 ≤ M ≤ 2,000,000,000)</p>
24+
25+
<p>둘째 줄에는 나무의 높이가 주어진다. 나무의 높이의 합은 항상 M보다 크거나 같기 때문에, 상근이는 집에 필요한 나무를 항상 가져갈 수 있다. 높이는 1,000,0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 또는 0이다.</p>
26+
27+
### 출력
28+
29+
<p>적어도 M미터의 나무를 집에 가져가기 위해서 절단기에 설정할 수 있는 높이의 최댓값을 출력한다.</p>
30+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0,0 +1,29 @@
1+
import sys
2+
3+
input = sys.stdin.readline
4+
5+
N, M = map(int, input().split()) #나무의 수, 나무의 길이
6+
tree_height = list(map(int, input().split()))
7+
8+
9+
start, end = 0, max(tree_height)
10+
11+
while start <= end:
12+
mid = (start + end) // 2
13+
cnt = 0
14+
for i in range(N):
15+
if tree_height[i] < mid: # 절단기 높이보다 낮은 나무는 자를 수 없다.
16+
pass
17+
else:
18+
cnt += tree_height[i] - mid
19+
20+
if cnt >=M: #자른 나무의 길이가 가져가려고하는 나무의 길이 M보다 크다면
21+
start = mid + 1 # 더 많이 잘라야한다. (start의 범위를 조정하면 다음 while문에서 (start + end // 2)일 때 더 높은 위치로 절단함.
22+
23+
else:
24+
end = mid - 1 # 더 적게 잘라야한다.
25+
26+
#print(cnt)
27+
print(end)
28+
29+

0 commit comments

Comments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