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 --git a/docs/admin-guide/cube/cube-admin-guide-ablestack-hci.md b/docs/admin-guide/cube/cube-admin-guide-ablestack-hci.md index c71b690f..dc507fe4 100644 --- a/docs/admin-guide/cube/cube-admin-guide-ablestack-hci.md +++ b/docs/admin-guide/cube/cube-admin-guide-ablestack-hci.md @@ -1,6 +1,6 @@ # ABLESTACK - HCI -Cube 웹 콘솔의 ABLESTACK 메뉴에서는 HCI로 구성시 스토리지센터 가상머신, 클라우스센터 가상머신 배포와 클러스터를 구성하여 ABLESTACK 가상어플라이언스 관리 및 상태 모니터링을 제공합니다. +Cube 웹 콘솔의 ABLESTACK 메뉴에서는 HCI로 구성시 스토리지센터 가상머신, 클라우드센터 가상머신 배포와 클러스터를 구성하여 ABLESTACK 가상어플라이언스 관리 및 상태 모니터링을 제공합니다. ## 메뉴 인터페이스 구성 diff --git a/docs/admin-guide/cube/cube-admin-guide-ablestack-vm.md b/docs/admin-guide/cube/cube-admin-guide-ablestack-vm.md index 306b2ee9..a5766b28 100644 --- a/docs/admin-guide/cube/cube-admin-guide-ablestack-vm.md +++ b/docs/admin-guide/cube/cube-admin-guide-ablestack-vm.md @@ -1,4 +1,4 @@ -# ABLESTACK - HCI +# ABLESTACK - VM Cube 웹 콘솔의 ABLESTACK 메뉴에서는 가상화로 구성시 클라우스센터 가상머신 배포와 클러스터를 구성하고 ABLESTACK 가상어플라이언스 관리 및 상태 모니터링을 제공합니다. @@ -13,7 +13,7 @@ Cube 웹 콘솔의 ABLESTACK 메뉴에서는 가상화로 구성시 클라우스 ![dashboard](../../assets/images/admin-guide/cube/ablestack/vm/dashboard.png) ## ABLESTACK 요약 리본 -클라우스센터 가상머신의 배포 및 클러스터 구성 여부에 따라 현 상태를 메시지로 표현해 줍니다. 각 단계별 수행해야 되는 필수 구성 정보를 확인하여 설치 마법사 및 대시보드 링크를 제공하며 ABLESTACK 가상 어플라이언스 구성에 편의를 제공합니다. +클라우스센터 가상머신의 배포 및 클러스터 구성 여부에 따라 현 상태를 메시지로 표현합니다. 각 단계별 수행해야 되는 필수 구성 정보를 확인하여 설치 마법사 및 대시보드 링크를 제공하며 ABLESTACK 가상 어플라이언스 구성에 편의를 제공합니다. ![ribbon](../../assets/images/admin-guide/cube/ablestack/vm/ribbon.png) @@ -103,7 +103,7 @@ GFS 펜스 장치를 유지보수모드를 해제할 수 있도록 실행하는 ![gfs-resource-external-storage-sync-confirm](../../assets/images/admin-guide/cube/ablestack/vm/gfs-resource-external-storage-sync-confirm.png) -- **외부 스토리지 설정 확인** 을 활성화 체크하여 실행 버튼을 활성화 합니다. (싱글패스 구성 여부 확인 해야함) +- **외부 스토리지 설정 확인** 을 활성화 체크하여 실행 버튼을 활성화합니다. (싱글패스 구성 여부 확인 해야함) - **실행** 버튼을 클릭하여 외부 스토리지 동기화합니다. ### WWN 목록 조회 @@ -180,7 +180,7 @@ Mold(클라우드 관리) 제품의 클러스터 현재 상태와 Cloud Center V ### 클라우드센터 클러스터 클린업 -클라우드센터 클러스터 리소스 모니터링 재시작 하기 위한 버튼입니다. +클라우드센터 클러스터 리소스 모니터링을 재시작하기 위한 버튼입니다. ![cloud-cluster-cleanup](../../assets/images/admin-guide/cube/ablestack/vm/cloud-cluster-cleanup.png) @@ -215,7 +215,7 @@ Mold(클라우드 관리) 제품의 클러스터 현재 상태와 Cloud Center V ### Bootstrap 실행 -클라우드센터 가상머신(CCVM)이 설치되고 클라우드센터 클러스터 자동구성을 위해 실행하는 버튼입니다. +클라우드센터 가상머신(CCVM)이 설치되고 난 뒤, 클라우드센터 클러스터 자동구성을 위해 실행하는 버튼입니다. !!! info * 호스트 한 곳에서만 실행하면 됩니다. @@ -247,13 +247,13 @@ Mold(클라우드 관리) 제품의 클러스터 현재 상태와 Cloud Center V - **실행** 버튼을 클릭하여 해당 모니터링센터 수집 정보 업데이트합니다. ## GFS 디스크 상태 조회 -GFS 디스크의 현재 상태와 마운트 정보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GFS 및 CLVM 디스크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GFS 디스크의 현재 상태와 마운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GFS 및 CLVM 디스크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gfs-status](../../assets/images/admin-guide/cube/ablestack/vm/gfs-status.png) ### GFS 디스크 추가 !!! info - GFS 디스크를 추가하려면, 사용되는 디스크를 연결이 선행 되어야 합니다. + GFS 디스크를 추가하려면, 사용되는 디스크를 연결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wwn으로 해당 디스크를 찾아 선택하시면 됩니다. !!! warning 선택한 항목과 관계없이 한 번에 하나의 GFS 디스크만 생성됩니다. 여러 개를 선택하더라도 하나의 디스크만 만들어지니, 이 점을 확인하신 후 선택해 주세요. @@ -273,10 +273,10 @@ GFS 디스크의 현재 상태와 마운트 정보를 확인 할 수 있습니 ### GFS 디스크 삭제 !!! check - GFS 디스크를 삭제하려면, Mold에서 사용중인 기본 스토리지, 컴퓨트 오퍼링, 디스크 오퍼링을 먼저 삭제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 GFS 디스크를 삭제하려면, Mold에서 사용중인 기본 스토리지, 컴퓨트 오퍼링, 디스크 오퍼링 삭제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 warning - Mold에서 사용중인 기본 스토리지, 컴퓨트 오퍼링, 디스크 오퍼링을 삭제하기 전, 해당 장치들을 사용중인 가상머신의 데이터를 백업 및 복구를 선행 한 후, 삭제하시길 바랍니다. + Mold에서 사용중인 기본 스토리지, 컴퓨트 오퍼링, 디스크 오퍼링을 삭제하기 전, 해당 장치들을 사용중인 가상머신의 데이터를 백업 및 복구한 후, 삭제하시길 바랍니다. ![gfs-status-gfs-disk-delete](../../assets/images/admin-guide/cube/ablestack/vm/gfs-status-gfs-disk-delete.png) diff --git a/docs/admin-guide/cube/cube-admin-guide-account.md b/docs/admin-guide/cube/cube-admin-guide-account.md index 92efe925..ee132980 100644 --- a/docs/admin-guide/cube/cube-admin-guide-account.md +++ b/docs/admin-guide/cube/cube-admin-guide-account.md @@ -1,10 +1,10 @@ # 계정 ## 개요 -Cube의 웹 콘솔에서 시스템 사용자 계정을 추가, 편집 및 제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표시된 사용자 계정으로 시스템에 액세스 할 때 사용자를 인증하고, 시스템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설정하고 시스템에 있는 모든 사용자 계정을 표시합니다. +Cube의 웹 콘솔에서 시스템 사용자 계정을 추가, 편집 및 제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표시된 사용자 계정으로 시스템에 액세스할 때 사용자를 인증하고, 시스템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설정하고 시스템에 있는 모든 사용자 계정을 표시합니다. ![cube-account-list.png](../../assets/images/admin-guide/cube/account/cube-account-list.png) -관리자 권한이 할당된 계정으로 로그인 한 후 계정 메뉴에서 다음 작업을 수행 할 수 있습니다. +관리자 권한이 할당된 계정으로 로그인 한 후 계정 메뉴에서 다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새 사용자 계정 추가 및 삭제 - 계정 잠금 @@ -60,7 +60,7 @@ Cube의 웹 콘솔에서 시스템 사용자 계정을 추가, 편집 및 제거 3. **비밀번호 변경** 버튼을 클릭합니다. ## 사용자 세션 종료 -사용자는 시스템에 로그인 할 때 사용자 세션을 생성합니다. 사용자 세션 종료는 시스템에서 사용자를 로그아웃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구성 변경에 민감한 관리 작업 (예 : 시스템 업그레이드)을 수행해야하는 경우 유용 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시스템에 로그인 할 때 사용자 세션을 생성합니다. 사용자 세션 종료는 시스템에서 사용자를 로그아웃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구성 변경에 민감한 관리 작업(예 : 시스템 업그레이드)을 수행해야하는 경우 유용할 수 있습니다. Cube의 웹 콘솔의 각 사용자 계정에서 현재 사용중인 웹 콘솔 세션을 제외한 계정에 대한 모든 세션을 종료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시스템에 대한 액세스를 잃어버리는 것을 방지합니다. @@ -68,9 +68,9 @@ Cube의 웹 콘솔의 각 사용자 계정에서 현재 사용중인 웹 콘솔 ![cube-account-password.png](../../assets/images/admin-guide/cube/account/cube-account-session-expiry.png) 1. 계정 메뉴를 클릭합니다. -2. 세션을 종료 할 사용자 계정을 클릭합니다. +2. 세션을 종료할 사용자 계정을 클릭합니다. 3. **세션 종료** 버튼을 클릭합니다. - - 세션 종료 버튼이 비활성화 되어 있으면 사용자가 시스템에 로그인 되어 있지 않습니다. + - 세션 종료 버튼이 비활성화 되어 있으면 사용자가 시스템에 로그인 되어 있지 않은 것입니다. ## 사용자 삭제 사용자 삭제는 시스템에서 사용자를 삭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불필요한 계정을 Cube UI에서 간편하게 삭제가능합니다. @@ -79,7 +79,7 @@ Cube의 웹 콘솔의 각 사용자 계정에서 현재 사용중인 웹 콘솔 ![cube-account-delete.png](../../assets/images/admin-guide/cube/account/cube-account-delete.png) 1. 계정 메뉴를 클릭합니다. -2. 삭제 할 사용자 계정을 클릭합니다. +2. 삭제할 사용자 계정을 클릭합니다. 3. **삭제** 버튼을 클릭합니다. - 삭제된 계정은 영구히 삭제 됩니다. diff --git a/docs/admin-guide/cube/cube-admin-guide-networking.md b/docs/admin-guide/cube/cube-admin-guide-networking.md index a69c27a9..932a9408 100644 --- a/docs/admin-guide/cube/cube-admin-guide-networking.md +++ b/docs/admin-guide/cube/cube-admin-guide-networking.md @@ -26,7 +26,7 @@ Cube의 웹 콘솔에서 네트워크 본딩을 구성하는 기능을 제공합 - 내결함성 및 로드 밸런싱 모드 - XOR : 대상 MAC 주소가 모듈로 해시를 사용하여 인터페이스간에 균등하게 분산됩니다. 그런 다음 각 인터페이스는 동일한 MAC 주소 그룹을 제공합니다. - - 802.3ad : IEEE 802.3ad 동적 링크 집계 정책을 설정합니다. 동일한 속도 및 이중 설정을 공유하는 집계 그룹을 만듭니다. 활성 애그리 게이터의 모든 인터페이스에서 송수신합니다. + - 802.3ad : IEEE 802.3ad 동적 링크 집계 정책을 설정합니다. 동일한 속도 및 이중 설정을 공유하는 집계 그룹을 만듭니다. 활성 애그리게이터의 모든 인터페이스에서 송수신합니다. !!! info 이 모드에는 802.3ad와 호환되는 스위치가 필요합니다. @@ -70,7 +70,7 @@ Cube의 웹 콘솔에서 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서 활성 ### 본드 인터페이스 추가 -네트워크 본드는 여러 인터페이스를 포함 할 수 있으며 언제든지 추가하거나 제거 할 수 있습니다. Cube의 웹 콘솔에서 기존 본드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추가합니다. +네트워크 본드는 여러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언제든지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습니다. Cube의 웹 콘솔에서 기존 본드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추가합니다. 본드에 인터페이스를 추가하려면 : @@ -83,7 +83,7 @@ Cube의 웹 콘솔에서 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서 활성 ### 본드 인터페이스 제거 또는 비활성화 -네트워크 본드는 여러 인터페이스를 포함 할 수 있습니다. 장치를 변경해야하는 경우 본드에서 특정 인터페이스를 제거하거나 비활성화 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본드는 여러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장치를 변경해야하는 경우 본드에서 특정 인터페이스를 제거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본드에 인터페이스를 제거하거나 비활성화 하려면 : @@ -103,7 +103,7 @@ Cube의 웹 콘솔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본드를 제거하거나 비활 1. 네트워킹 메뉴를 클릭합니다. 2. 제거할 본드를 클릭하십시오. -3. 본드 설정 화면에서 **ON/OFF** 스위치로 본드를 비활성화 하거나 **삭제** 버튼을 클릭하여 본드를 영구적으로 제거 할 수 있습니다. +3. 본드 설정 화면에서 **ON/OFF** 스위치로 본드를 비활성화 하거나 **삭제** 버튼을 클릭하여 본드를 영구적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cube-networking-delbond.png](../../assets/images/admin-guide/cube/networking/cube-networking-delbond.png) @@ -185,20 +185,20 @@ Cube의 웹 콘솔을 사용하여 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 팀 인터페이스 추가 -네트워크 팀은 여러 인터페이스를 포함 할 수 있으며 언제든지 추가하거나 제거 할 수 있습니다. Cube의 웹 콘솔을 사용하여 기존 팀에 새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추가합니다. +네트워크 팀은 여러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언제든지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습니다. Cube의 웹 콘솔을 사용하여 기존 팀에 새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추가합니다. 팀에 인터페이스를 추가하려면 : 1. 네트워킹 메뉴를 클릭합니다. 2. 인터페이스를 추가할 팀을 클릭합니다. 3. 팀 설정 화면에서 '**멤버 추가**'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4. 목록에서 팀에 추가 할 인터페이스를 선택합니다. +4. 목록에서 팀에 추가할 인터페이스를 선택합니다. ![cube-networking-addteam-interface.png](../../assets/images/admin-guide/cube/networking/cube-networking-addteam-interface.png) ### 팀 인터페이스 제거 또는 비활성화 -네트워크 팀은 여러 인터페이스를 포함 할 수 있습니다. 장치를 변경해야하는 경우 네트워크 팀에서 특정 인터페이스를 제거하거나 비활성화하면 나머지 활성 인터페이스와 함께 작동합니다. +네트워크 팀은 여러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장치를 변경해야하는 경우 네트워크 팀에서 특정 인터페이스를 제거하거나 비활성화하면 나머지 활성 인터페이스와 함께 작동합니다. 팀에 인터페이스를 제거하거나 비활성화 하려면 : @@ -219,8 +219,8 @@ Cube의 웹 콘솔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팀을 제거하거나 비활성 1. 네트워킹 메뉴를 클릭합니다. 2. 제거하거나 비활성화하려는 팀을 클릭합니다. 3. 선택한 팀을 제거하거나 비활성화합니다. - - **삭제** 버튼을 클릭하여 팀을 제거 할 수 있습니다. - - 팀을 비활성화 할 수 있습니다. **ON/OFF** 스위치를 비활성화된 위치로 전환하십시오. + - **삭제** 버튼을 클릭하여 팀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 - 팀을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ON/OFF** 스위치를 비활성화된 위치로 전환하십시오. ![cube-networking-delteam.png](../../assets/images/admin-guide/cube/networking/cube-networking-delteam.png) @@ -241,8 +241,8 @@ Cube의 웹 콘솔을 사용하여 여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브릿 3. 브릿지 설정 화면에서 새 브릿지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4. 포트 항목에서 한 개의 서브넷에 넣어 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선택합니다. -5. 선택적으로 STP(Spanning Tree 프로토콜) 를 선택하여 브릿지 루프 및 브로드 캐스트 방사를 방지 할 수 있습니다. - - 강한 선호도가 없는 경우 사전 정의 된 값을 그대로 두십시오. +5. 선택적으로 STP(Spanning Tree 프로토콜) 를 선택하여 브릿지 루프 및 브로드 캐스트 방사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 - 강한 선호도가 없는 경우 사전 정의된 값을 그대로 두십시오. 6. **적용** 버튼을 클릭합니다. 브릿지가 성공적으로 생성되면 웹 콘솔의 네트워킹 메뉴에 새 브릿지가 표시됩니다. 새 브릿지 행의 송신 및 수신 열에서 값을 확인하십시오. @@ -280,7 +280,7 @@ Cube의 웹 콘솔을 사용하여 브릿지를 편집합니다. ### 고정 IP 주소 구성 -시스템의 IP 주소는 DHCP 서버가 풀에서 자동으로 할당하거나 IP 주소를 수동으로 구성 할 수 있습니다. IP 주소는 DHCP 서버 설정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시스템의 IP 주소는 DHCP 서버가 풀에서 자동으로 할당하거나 IP 주소를 수동으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 IP 주소는 DHCP 서버 설정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브릿지에 고정 IP 주소를 구성하려면 : @@ -304,7 +304,7 @@ Cube의 웹 콘솔을 사용하여 브릿지를 편집합니다. ### 인터페이스 제거 -네트워크 브릿지에는 여러 인터페이스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브릿지에서 제거 할 수 있습니다. 제거된 각 인터페이스는 자동으로 독립형 인터페이스로 변경됩니다. +네트워크 브릿지에는 여러 인터페이스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브릿지에서 제거할 수 있습니다. 제거된 각 인터페이스는 자동으로 독립형 인터페이스로 변경됩니다. 브릿지에 인터페이스를 제거하려면 : @@ -333,7 +333,7 @@ Cube의 웹 콘솔에서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브릿지를 삭제할 수 ![cube-networking-delbridge.png](../../assets/images/admin-guide/cube/networking/cube-networking-delbridge.png) 이 단계에서 네트워킹으로 돌아가 모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인터페이스 탭에 표시되는지 확인합니다. -브릿지의 일부였던 인터페이스는 이제 비활성화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활성화하고 네트워크 매개변수를 수동으로 설정해야 할 수 있습니다. +브릿지의 일부였던 인터페이스는 이제 비활성화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활성화하고 네트워크 매개변수를 수동으로 설정해야할 수 있습니다. ## VLAN 구성 VLAN(가상 LAN)은 단일 물리적 이더넷 인터페이스에서 생성된 가상 네트워크입니다. 각 VLAN은 고유 한 양의 정수를 나타내는 ID로 정의되며 독립형 인터페이스로 작동합니다. @@ -362,7 +362,7 @@ VLAN을 추가하려면 : ## 수신 포트 설정 -Cube의 웹 콘솔에새 포트를 허용하거나 기존 포트를 변경합니다. +Cube의 웹 콘솔에 새 포트를 허용하거나 기존 포트를 변경합니다. ### SELinux 가 활성화된 시스템에서 새 포트 허용 @@ -399,11 +399,11 @@ Cube의 웹 콘솔에새 포트를 허용하거나 기존 포트를 변경합니 ``` !!! info - firewall-cmd --service cockpit --add-port=PORT_NUMBER/tcp 로 '--permanent' 옵션 없이 실행하는 경우 다음에 firewalld 시스템을 다시 로드하거나 재부팅 하면 변경 사항이 취소됩니다. + firewall-cmd --service cockpit --add-port=PORT_NUMBER/tcp 로 '--permanent' 옵션 없이 실행하는 경우 firewalld 시스템을 다시 로드하거나 재부팅하면 변경 사항이 취소됩니다. ### Cube의 웹 콘솔 포트 변경 -Cube의 웹 콘솔 포트 9090의 기본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을 다른 프로토콜로 변경합니다. +Cube의 웹 콘솔 포트 9090 의 기본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을 다른 프로토콜로 변경합니다. !!! warning Cube의 웹 콘솔 포트는 고정되어 있으며 변경이 필요한 경우 엔지니어가 작업을 진행해야합니다. 관리자에게 문의하십시오. @@ -435,7 +435,7 @@ Cube의 웹 콘솔 포트를 변경하려면 : 이전 단계에서 systemctl edit cockpit.socket 을 실행한 경우에는 systemctl daemon-reload 를 실행하지 않아도 됩니다. ## 방화벽 관리 -방화벽은 외부에서 들어오는 원치 않는 트래픽으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방화벽 규칙 집합을 정의하여 호스트 컴퓨터에서 들어오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어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규칙은 들어오는 트래픽을 정렬하고 차단하거나 허용하는 데 사용됩니다. +방화벽은 외부에서 들어오는 원치 않는 트래픽으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방화벽 규칙 집합을 정의하여 호스트 컴퓨터에서 들어오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규칙은 들어오는 트래픽을 정렬하고 차단하거나 허용하는 데 사용됩니다. ### 방화벽 실행 @@ -465,31 +465,33 @@ Cube의 웹 콘솔에서 방화벽을 중지합니다. ### 방화벽 -firewalld D-Bus 인터페이스가 있는 동적 사용자 정의 가능한 호스트 기반 방화벽을 제공하는 방화벽 서비스 데몬입니다. 동적이기 때문에 규칙이 변경 될 때마다 방화벽 데몬을 다시 시작할 필요없이 규칙을 생성, 변경 및 삭제할 수 있습니다. +firewalld 는 D-Bus 인터페이스가 있는 동적 사용자 정의 가능한 호스트 기반 방화벽을 제공하는 방화벽 서비스 데몬입니다. 동적이기 때문에 규칙이 변경 될 때마다 방화벽 데몬을 다시 시작할 필요없이 규칙을 생성, 변경 및 삭제할 수 있습니다. -firewalld 트래픽 관리를 단순화하는 영역 및 서비스 개념을 사용합니다. 영역은 미리 정의 된 규칙 집합입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소스를 영역에 할당 할 수 있습니다. 허용되는 트래픽은 컴퓨터가 연결된 네트워크와 이 네트워크에 할당된 보안 수준에 따라 다릅니다. 방화벽 서비스는 특정 서비스에 대한 수신 트래픽을 허용하는데 필요한 모든 설정을 포함하는 미리 정의 된 규칙이며 영역 내에서 적용됩니다. +firewalld 는 트래픽 관리를 단순화하는 영역 및 서비스 개념을 사용합니다. 영역은 미리 정의된 규칙 집합입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소스를 영역에 할당할 수 있습니다. 허용되는 트래픽은 컴퓨터가 연결된 네트워크와 이 네트워크에 할당된 보안 수준에 따라 다릅니다. 방화벽 서비스는 특정 서비스에 대한 수신 트래픽을 허용하는 데 필요한 모든 설정을 포함하는 미리 정의된 규칙이며 영역 내에서 적용됩니다. -서비스는 네트워크 통신을 위해 하나 이상의 포트 또는 주소를 사용합니다. 방화벽은 포트를 기반으로 통신을 필터링합니다. 서비스에 대한 네트워크 트래픽을 허용하려면 해당 포트가 열려 있어야 합니다. firewalld 명시적으로 개방으로 설정되지 않은 포트의 모든 트래픽을 차단합니다. trusted 와 같은 일부 영역은 기본적으로 모든 트래픽을 허용합니다. +서비스는 네트워크 통신을 위해 하나 이상의 포트 또는 주소를 사용합니다. 방화벽은 포트를 기반으로 통신을 필터링합니다. 서비스에 대한 네트워크 트래픽을 허용하려면 해당 포트가 열려 있어야 합니다. + +firewalld 는 명시적으로 개방 설정되지 않은 포트의 모든 트래픽을 차단합니다. trusted 와 같은 일부 영역은 기본적으로 모든 트래픽을 허용합니다. ### 영역 -⁠firewalld 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해당 네트워크 내의 인터페이스 및 트래픽에 대해 결정한 신뢰 수준에 따라 네트워크를 다른 영역으로 분리 할 수 있습니다. 연결은 하나의 영역에만 속할 수 있지만 여러 네트워크 연결에 영역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firewalld 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해당 네트워크 내의 인터페이스 및 트래픽에 대해 결정한 신뢰 수준에 따라 네트워크를 다른 영역으로 분리할 수 있습니다. 연결은 하나의 영역에만 속할 수 있지만 여러 네트워크 연결에 영역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NetworkManager 는 firewalld 인터페이스 영역을 제공합니다. 다음을 사용하여 인터페이스에 영역을 할당 할 수 있습니다. +NetworkManager 는 firewalld 인터페이스 영역을 제공합니다. 다음을 사용하여 인터페이스에 영역을 할당할 수 있습니다. - NetworkManager - firewall-config 수단 - firewall-cmd 명령 줄 도구 -- RHEL Cockpit +- Rocky Cockpit -NetworkManager 제외한 나머지 3가지는 NetworkManager 구성 파일만 편집 할 수 있습니다. 웹 콘솔 firewall-cmd 또는 firewall-config를 사용하여 인터페이스의 영역을 변경하면 NetworkManager로 요청이 전달되고 firewalld로 처리되지 않습니다. +NetworkManager 제외한 나머지 3가지는 NetworkManager 구성 파일만 편집할 수 있습니다. 웹 콘솔 firewall-cmd 또는 firewall-config를 사용하여 인터페이스의 영역을 변경하면 NetworkManager로 요청이 전달되고 firewalld로 처리되지 않습니다. -사전 정의된 영역은 /usr/lib/firewalld/zones/ 디렉토리에 저장되며 사용 가능한 모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즉시 적용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파일은 수정 된 후에 만 /etc/firewalld/zones/ 디렉토리에 복사됩니다. 사전 정의된 영역의 기본 설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전 정의된 영역은 /usr/lib/firewalld/zones/ 디렉토리에 저장되며 사용 가능한 모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즉시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파일은 수정된 후에만 /etc/firewalld/zones/ 디렉토리에 복사됩니다. 사전 정의된 영역의 기본 설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block** : 들어오는 모든 네트워크 연결은 IPv4 에 대한 icmp-host-prohibited 메시지 및 IPv6 에 대한 icmp6-adm-prohibited 메시지와 함께 거부됩니다. 시스템 내에서 시작된 네트워크 연결만 가능합니다. -- **dmz** : 내부 네트워크에 대한 제한된 액세스로 공개적으로 액세스 할 수 있는 dmz에 있는 컴퓨터의 경우. 선택한 수신 연결만 허용됩니다. +- **dmz** : 내부 네트워크에 대한 제한된 액세스로 공개적으로 액세스할 수 있는 dmz에 있는 컴퓨터의 경우, 선택한 수신 연결만 허용됩니다. - **drop** : 들어오는 네트워크 패킷은 알림 없이 삭제됩니다. 나가는 네트워크 연결만 가능합니다. -- **external** : Masquerading이 활성화 된 외부 네트워크, 특히 라우터에서 사용합니다. 컴퓨터에 해를 끼치지 않기 위해 네트워크의 다른 컴퓨터를 신뢰하지 않습니다. 선택한 수신 연결만 허용됩니다. +- **external** : Masquerading이 활성화된 외부 네트워크, 특히 라우터에서 사용합니다. 컴퓨터에 해를 끼치지 않기 위해 네트워크의 다른 컴퓨터를 신뢰하지 않습니다. 선택한 수신 연결만 허용됩니다. - **home** : 네트워크의 다른 컴퓨터를 대부분 신뢰할 때 home 에서 사용합니다. 선택한 수신 연결만 허용됩니다. - **internal** : 네트워크의 다른 컴퓨터를 대부분 신뢰할 때 내부 네트워크에서 사용합니다. 선택한 수신 연결만 허용됩니다. - **public** : 네트워크상의 다른 컴퓨터를 신뢰하지 않는 공공장소에서 사용합니다. 선택한 수신 연결만 허용됩니다. @@ -503,7 +505,7 @@ NetworkManager 제외한 나머지 3가지는 NetworkManager 구성 파일만 ### Cube 웹 콘솔의 방화벽 -Cube의 웹 콘솔은 firewalld 서비스의 주요 기능을 구현하며 다음을 수행 할 수 있습니다. +Cube의 웹 콘솔은 firewalld 서비스의 주요 기능을 구현하며 다음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특정 인터페이스 또는 IP 주소 범위에 미리 정의된 방화벽 영역 추가 - 활성화된 서비스 목록에서 서비스를 선택하여 영역 구성 @@ -512,14 +514,14 @@ Cube의 웹 콘솔은 firewalld 서비스의 주요 기능을 구현하며 다 ### 영역 활성화 -Cube의 웹 콘솔을 사용하면 특정 인터페이스 또는 IP 주소 범위에 미리 정의된 기존 방화벽 영역을 적용 할 수 있습니다. +Cube의 웹 콘솔을 사용하면 특정 인터페이스 또는 IP 주소 범위에 미리 정의된 기존 방화벽 영역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방화벽 영역을 활성화 하려면 : ![cube-networking-firewalllist.png](../../assets/images/admin-guide/cube/networking/cube-networking-firewalllist.png) 1. 관리자 권한으로 Cube의 웹 콘솔에 로그인합니다. 2. 네트워킹 메뉴를 클릭합니다. -3. **방화벽** 을 클릭합니다.\ +3. **방화벽** 을 클릭합니다. - 방화벽 상자가 보이지 않으면 관리자 권한으로 Cube의 웹 콘솔에 로그인하십시오. ![cube-networking-firewalllist.png](../../assets/images/admin-guide/cube/networking/cube-networking-firewalladd.png) @@ -543,7 +545,7 @@ Cube의 웹 콘솔을 사용하면 특정 인터페이스 또는 IP 주소 범 ### 서비스 활성화 -기본적으로 서비스는 기본 방화벽 영역에 추가됩니다. 더 많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서 더 많은 방화벽 영역을 사용하는 경우 먼저 영역을 선택한 다음 포트가 있는 서비스를 추가해야합니다. Cube의 웹 콘솔은 사전 정의된 firewalld 서비스를 표시하며 이를 활성화하여 방화벽 영역에 추가 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서비스는 기본 방화벽 영역에 추가됩니다. 더 많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서 더 많은 방화벽 영역을 사용하는 경우 먼저 영역을 선택한 다음 포트가 있는 서비스를 추가해야합니다. Cube의 웹 콘솔은 사전 정의된 firewalld 서비스를 표시하며 이를 활성화하여 방화벽 영역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방화벽 서비스를 활성화 하려면 : @@ -571,7 +573,7 @@ Cube의 웹 콘솔을 사용하면 특정 인터페이스 또는 IP 주소 범 ### 사용자 지정 포트 구성 -Cube의 웹 콘솔을 사용하여 다음을 추가 할 수 있습니다. +Cube의 웹 콘솔을 사용하여 다음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 표준 포트에서 수신하는 서비스 - 사용자 지정 포트에서 수신하는 서비스 @@ -594,14 +596,14 @@ Cube의 웹 콘솔을 사용하여 다음을 추가 할 수 있습니다. - 서비스 추가 화면은 시스템이 여러 개의 활성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에만 활성 방화벽 영역의 목록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시스템에서 하나(기본) 영역만 사용하는 경우 영역 설정이 포함되지 않습니다. 6. 포트 추가에서 사용자 정의 포트 라디오 버튼을 누릅니다. -7. TCP 및 UDP 항목에서 예제에 따라 포트를 추가하십시오. 다음 형식으로 포트를 추가 할 수 있습니다. +7. TCP 및 UDP 항목에서 예제에 따라 포트를 추가하십시오. 다음 형식으로 포트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 22와 같은 포트 번호 - 5900-5910과 같은 포트 번호 범위 - nfs, rsync와 같은 별칭 !!! info - 각 항목에 여러 값을 추가 할 수 있습니다. 값은 공백없이 쉼표로 구분해야합니다 (예 : 8080,8081, http) + 각 항목에 여러 값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값은 공백없이 쉼표로 구분해야합니다 (예 : 8080,8081,http) 8. TCP 및 UDP 항목에 포트 번호를 추가 한 후 ID 항목에서 서비스 이름을 확인하십시오. - - ID 항목은 예약된 포트 서비스의 이름을 표시합니다. 이 포트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고 서버가 이 포트에서 통신 할 필요가 없는 경우 ID를 다시 쓸 수 있습니다. + - ID 항목은 예약된 포트 서비스의 이름을 표시합니다. 이 포트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고 서버가 이 포트에서 통신할 필요가 없는 경우 ID를 다시 쓸 수 있습니다. 9. ID 항목에 정의된 포트를 포함하여 서비스의 이름을 추가합니다. 10. **포트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diff --git a/docs/admin-guide/cube/cube-admin-guide-outline.md b/docs/admin-guide/cube/cube-admin-guide-outline.md index b8f038ed..3c342a4c 100644 --- a/docs/admin-guide/cube/cube-admin-guide-outline.md +++ b/docs/admin-guide/cube/cube-admin-guide-outline.md @@ -21,7 +21,7 @@ Cube 웹 콘솔은 로컬 시스템과 네트워크 환경에서 ABLESTACK 스 ## 개요 조회 -1. Cube 대시보드는 관리자가 호스트의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의 상태, 자원 사용량, 시스템 정보, 설정 정보 등의 다양항 정보를의 제공하는 대시보드입니다. 이를 통해 운영자는 호스트의 전반적인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Cube 대시보드는 관리자가 호스트의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의 상태, 자원 사용량, 시스템 정보, 설정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의 제공하는 대시보드입니다. 이를 통해 운영자는 호스트의 전반적인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시보드 조회](../../assets/images/admin-guide/cube/outline/outline.png){ align=center } 이 대시보드는 관리자에게 호스트의 현황을 직관적으로 제공하여 호스트의 전반적인 상태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 -80,7 +80,7 @@ Cube 웹 콘솔을 사용하여 연결된 시스템을 종료 할 수 있습니 ![하드웨어 세부 사항보기 화면](../../assets/images/admin-guide/cube/outline/hardware-info-view.png){ align=center } - * **시스템 정보 와 PIC 장치** 정보를 확인합니다. + * **시스템 정보 와 PCI 장치** 정보를 확인합니다. ## 호스트 이름 편집 diff --git a/docs/admin-guide/cube/cube-admin-guide-record.md b/docs/admin-guide/cube/cube-admin-guide-record.md index fe0f46d9..ce46d5ea 100644 --- a/docs/admin-guide/cube/cube-admin-guide-record.md +++ b/docs/admin-guide/cube/cube-admin-guide-record.md @@ -1,5 +1,5 @@ # 기록 -Cube 웹 콘솔의 기록메뉴는 시스템에 발생하는 로그정보에 접근하여 검토 및 필터링하여 필요한 정보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Cube 웹 콘솔의 기록메뉴는 시스템에 발생하는 로그정보에 접근하여 검토 및 필터링하여 필요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 개요 Cube 웹 콘솔 기록 메뉴는 journalctl 유틸리티의 UI입니다. Cube 웹 콘솔 인터페이스에서 시스템 로그에 액세스하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 -19,24 +19,24 @@ Cube 웹 콘솔 기록 메뉴는 journalctl 유틸리티의 UI입니다. Cube **로그 필터링을 위한 텍스트 검색** -텍스트 검색을 사용하여 로그를 필터링할 경우 세 개의 드롭 다운 메뉴에 정의 된 미리 정의 된 옵션을 사용하거나 전체 검색을 직접 입력 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검색을 사용하여 로그를 필터링할 경우 세 개의 드롭다운 메뉴에 미리 정의된 옵션을 사용하거나 전체 검색을 직접 입력할 수 있습니다 -* 드롭 다운 메뉴 : 검색의 주요 매개 변수를 지정하는 데 사용할 수있는 세 가지 드롭 다운 메뉴가 있습니다. - * 시간 : 검색의 다양한 시간 범위에 대한 사전 정의 된 검색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 우선 순위 : 다양한 우선 순위 수준에 대한 옵션을 제공합니다. journalctl --priority 옵션에 해당합니다. 기본 우선 순위 값은 오류 이상의 수준 입니다. 다른 우선 순위를 지정하지 않을 때마다 설정됩니다. +* 드롭다운 메뉴 : 검색의 주요 매개 변수를 지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세 가지 드롭다운 메뉴가 있습니다. + * 시간 : 검색의 다양한 시간 범위에 대한 사전 정의된 검색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 우선 순위 : 다양한 우선 순위 수준에 대한 옵션을 제공합니다. journalctl --priority 옵션에 해당합니다. 기본 우선 순위 값은 오류 이상 수준입니다. 다른 우선 순위를 지정하지 않을 때마다 설정됩니다. * 식별자 : 필터링 할 식별자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journalctl --identifier 옵션에 해당합니다. -* Quantifiers : 검색을 지정하는 데 사용할 수있는 6개의 옵션이 있습니다. 로그 필터링 옵션 표에서 다룹니다. +* Quantifiers : 검색을 지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6개의 옵션이 있습니다. 로그 필터링 옵션 표에서 다룹니다. * 로그 필드 : 특정 로그 필드를 검색하려는 경우 필드 내용과 함께 필드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 로그 메시지에서 자유 형식 텍스트 검색 : 로그 메시지에서 원하는 텍스트 문자열을 필터링 할 수 있습니다. 문자열은 정규식 형식 일 수도 있습니다. +* 로그 메시지에서 자유 형식 텍스트 검색 : 로그 메시지에서 원하는 텍스트 문자열을 필터링 할 수 있습니다. 문자열은 정규식 형태로도 가능합니다. !!! example - * 2025 년 4 월 29 일 이후 발생한 'systemd'로 식별 된 모든 로그 메시지를 필터링하고 'JOB_TYPE'은 'start'또는 'restart'인 경우를 필터링합니다. + * 2025 년 4 월 29 일 이후 발생한 'systemd'로 식별 된 모든 로그 메시지를 필터링하고 'JOB_TYPE' 은 'start' 또는 'restart' 인 경우를 필터링합니다. * `identifier:systemd since:2025-4-29 JOB_TYPE=start,restart` 검색필드에 입력 * 결과 값을 확인합니다. ![cube-log-filter4-webui](../../assets/images/admin-guide/cube/record/cube_log_filter4_webUI.png) !!! example - * 'service'가 'cockpit-tls'이면서 'succeeded'가 포함된 경우를 필터링합니다. + * 'service' 가 'cockpit-tls' 이면서 'succeeded' 가 포함된 경우를 필터링합니다. * `service:cockpit-tls boot:0 succeeded` 검색필드에 입력 * 결과 값을 확인합니다. ![cube-log-filter5-webui](../../assets/images/admin-guide/cube/record/cube_log_filter5_webUI.png) @@ -51,5 +51,5 @@ priority| 메시지 우선 순위별로 출력을 필터링합니다. 단일 숫 identifier| 지정된 syslog 식별자 SYSLOG_IDENTIFIER에 대한 메시지를 표시합니다. 여러번 지정할 수 있습니다.
(식별자 드롭다운 메뉴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follow| 가장 최근의 저널 항목만 표시하고 저널에 추가 될 때 새 항목을 계속 인쇄합니다.
(드롭다운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service| 지정된 systemd 장치에 대한 메시지를 표시합니다. 여러번 지정할 수 있습니다.
(드롭다운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journalctl --unit 매개 변수에 해당합니다.) -boot| 특정 부팅의 메시지를 표시합니다. 양의 정수는 저널의 시작부터 부팅을 조회하고 0보다 같거나 작은 정수는 저널의 끝에서 시작하는 부팅을 조회합니다. 따라서 1은 시간순으로 저널에서 찾은 첫 번째 부팅을 의미하고, 2는 두 번째 등의 순서로 검색됩니다. -0은 마지막 부팅이고, -1은 마지막 부팅 이전 부팅입니다.
(시간 드롭 다운 메뉴에서 현재 부팅 또는 이전 부팅 으로 만 적용됩니다. 다른 옵션은 수동으로 작성해야 합니다.) -since| 날짜 포맷은 '2025-04-29 18:17:16'형식이어야합니다. 시간 부분을 생략하면 "00:00:00"으로 간주됩니다. 초 구성 요소 만 생략하면 ": 00"으로 간주됩니다. 날짜 구성 요소를 생략하면 현재 날짜로 간주됩니다. 대안으로, "yesterday", "today", "tomorrow"문자열이 이해되며, 이는 각각 현재 날짜 전날, 현재 날짜 또는 오늘 다음날의 00:00:00을 나타냅니다. "now"은 현재 시간을 나타냅니다. 마지막으로, 각각 현재 시간 이전 또는 이후의 시간을 나타내는 "-"또는 "+"접두사가 붙은 상대 시간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드롭다운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boot| 특정 부팅의 메시지를 표시합니다. 양의 정수는 저널의 시작부터 부팅을 조회하고 0보다 같거나 작은 정수는 저널의 끝에서 시작하는 부팅을 조회합니다. 따라서 1은 시간순으로 저널에서 찾은 첫 번째 부팅을 의미하고, 2는 두 번째 등의 순서로 검색됩니다. -0은 마지막 부팅이고, -1은 마지막 부팅 이전 부팅입니다.
(시간 드롭 다운 메뉴에서 현재 부팅 또는 이전 부팅으로만 적용됩니다. 다른 옵션은 수동으로 작성해야 합니다.) +since| 날짜 포맷은 '2025-04-29 18:17:16' 형식이어야합니다. 시간 부분을 생략하면 "00:00:00" 으로 간주됩니다. 초 구성 요소만 생략하면 ":00"으로 간주됩니다. 날짜 구성 요소를 생략하면 현재 날짜로 간주됩니다. 대안으로, "yesterday", "today", "tomorrow" 문자열이 가능하며, 이는 각각 현재 날짜의 전날, 현재 날짜 혹은 다음날의 "00:00:00" 을 나타냅니다. "now" 은 현재 시간을 나타냅니다. 마지막으로, 각각 현재 시간 이전 또는 이후의 시간을 나타내는 "-"또는 "+"접두사가 붙은 상대 시간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드롭다운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diff --git a/docs/admin-guide/cube/cube-admin-guide-repository.md b/docs/admin-guide/cube/cube-admin-guide-repository.md index cc676167..04abc7a9 100644 --- a/docs/admin-guide/cube/cube-admin-guide-repository.md +++ b/docs/admin-guide/cube/cube-admin-guide-repository.md @@ -1,5 +1,5 @@ # 저장소 -Cube 웹 콘솔의 저장소메뉴는 사용하여 파일 시스템을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Cube 웹 콘솔의 저장소메뉴는 파일 시스템을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 파티션 관리 @@ -12,11 +12,11 @@ Cube 웹 콘솔의 저장소메뉴는 사용하여 파일 시스템을 관리하 !!! warning 디스크 초기화 작업시 데이터 손실이 없도록 신중히 작업하여야 합니다. -파티션 생성 하려면 : +파티션을 생성하려면 : ![cube_storage1_1_webUI](../../assets/images/admin-guide/cube/repository/cube_storage1_1_webUI.png) -- 저장소에서 파티션을 생성 하려는 볼륨을 클릭합니다. +- 저장소에서 파티션을 생성하려는 볼륨을 클릭합니다. ![cube-storage2-webui](../../assets/images/admin-guide/cube/repository/cube_storage2_webUI.png) @@ -24,7 +24,7 @@ Cube 웹 콘솔의 저장소메뉴는 사용하여 파일 시스템을 관리하 ![cube_storage3_webUI](../../assets/images/admin-guide/cube/repository/cube_storage3_webUI.png) -- **파티션** 타입 을 선택햅니다. +- **파티션** 타입을 선택햅니다. - **덮어쓰기** 여부를 선택합니다. - **초기화** 를 클릭합니다. @@ -62,7 +62,7 @@ Cube 웹 콘솔의 저장소메뉴는 사용하여 파일 시스템을 관리하 !!! info * 전제 조건 : 파티션의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 해제합니다. -파티션 생성 하려면 : +파티션을 생성하려면 : ![cube-storage6-webui](../../assets/images/admin-guide/cube/repository/cube_storage6_webUI.png) - 파티션 섹션에서 **삭제** 버튼을 클릭합니다. @@ -79,7 +79,7 @@ Cube 웹 콘솔의 저장소메뉴는 사용하여 파일 시스템을 관리하 파티션을 사용하려면 파티션을 파일 시스템을 장치로 마운트해야 합니다. -파일 시스템 마운트 하려면 :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 하려면 : ![cube-storage9-webui](../../assets/images/admin-guide/cube/repository/cube_storage9_webUI.png) @@ -102,15 +102,15 @@ Cube 웹 콘솔의 저장소메뉴는 사용하여 파일 시스템을 관리하 ![cube_storage10_2_webUI](../../assets/images/admin-guide/cube/repository/cube_storage10_2_webUI.png) -- **적재 해제** 버튼을 클릭하여 적제 해재 합니다. +- **적재 해제** 버튼을 클릭하여 적재 해재합니다. ## NFS 마운트 관리 -NFS를 사용하면 네트워크에 있는 원격 디렉토리에 도달하여 마운트 할 수 있으며 디렉토리가 실제 드라이브에 있는 것처럼 파일에 대해 작업 할 수 있습니다. +NFS를 사용하면 네트워크에 있는 원격 디렉토리를 마운트할 수 있으며 디렉토리가 실제 드라이브에 있는 것처럼 파일에 대해 작업할 수 있습니다. ### 신규 NFS 적재 -NFS 마운트 연결 하려면 : +NFS 마운트를 연결하려면 : ![cube_storage11_1_webUI](../../assets/images/admin-guide/cube/repository/cube_storage11_1_webUI.png) @@ -126,7 +126,7 @@ NFS 마운트 연결 하려면 : ### NFS 적재 해제 -NFS 마운트 적재 해제 하려면 : +NFS 마운트 적재 해제하려면 : ![cube_storage12_webUI](../../assets/images/admin-guide/cube/repository/cube_storage12_webUI.png) @@ -134,7 +134,7 @@ NFS 마운트 적재 해제 하려면 : ### NFS 편집 -NFS 마운트 정보를 편집 하려면 : +NFS 마운트 정보를 편집하려면 : ![cube_storage12_1_webUI](../../assets/images/admin-guide/cube/repository/cube_storage12_1_webUI.png) @@ -150,7 +150,7 @@ NFS 마운트 정보를 편집 하려면 : ### NFS 제거 -NFS를 제거 하려면 : +NFS를 제거하려면 : ![cube_storage12_3_webUI](../../assets/images/admin-guide/cube/repository/cube_storage12_3_webUI.png) @@ -203,7 +203,7 @@ RAID에서 디스크를 사용하려면 먼저 다음을 수행해야 합니다. 시스템에 연결된 실제 디스크입니다. 각 RAID 수준에는 서로 다른 양의 디스크가 필요합니다. -RAID 생성 하려면 : +RAID 생성하려면 : ![cube_storage13_webUI](../../assets/images/admin-guide/cube/repository/cube_storage13_webUI.png) @@ -227,7 +227,7 @@ RAID 생성 하려면 : !!! warning 초기화하면 저장장치에서 모든 자료가 제거됩니다. -RAID 포멧 하려면 : +RAID 포멧하려면 : ![cube_storage14_1_webUI](../../assets/images/admin-guide/cube/repository/cube_storage14_1_webUI.png) @@ -262,7 +262,7 @@ RAID를 사용하려면 다른 스토리지 디바이스와 같은 포맷이 필 - 파티션 없이 RAID 장치 포맷 - 파티션이 있는 파티션 테이블 만들기 -RAID 파티션 테이블 생성 하려면 : +RAID 파티션 테이블 생성하려면 : ![cube_storage14_3_webUI](../../assets/images/admin-guide/cube/repository/cube_storage14_3_webUI.png) @@ -282,7 +282,7 @@ RAID 파티션 테이블 생성 하려면 : 기존 파티션 테이블에 파티션을 생성합니다. -RAID에 파티션 생성 하려면 : +RAID에 파티션을 생성하려면 : ![cube_storage14_5_webUI](../../assets/images/admin-guide/cube/repository/cube_storage14_5_webUI.png) @@ -316,7 +316,7 @@ RAID에 파티션 생성 하려면 : ### RAID 삭제 -raid를 삭제 하려면 : +raid를 삭제하려면 : ![cube_storage14_7_webUI](../../assets/images/admin-guide/cube/repository/cube_storage14_7_webUI.png) @@ -352,7 +352,7 @@ Cube웹 콘솔은 LVM 볼륨 그룹 및 논리적 볼륨을 생성하기 위한 논리 볼륨은 볼륨 그룹에서 생성됩니다. 각 볼륨 그룹에는 여러 논리 볼륨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볼륨 그룹 생성 하려면 : +볼륨 그룹을 생성하려면 : ![cube_storage15_webUI](../../assets/images/admin-guide/cube/repository/cube_storage15_webUI.png) @@ -363,7 +363,7 @@ Cube웹 콘솔은 LVM 볼륨 그룹 및 논리적 볼륨을 생성하기 위한 - **이름** 필드에 공백이 없는 그룹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 볼륨 그룹을 생성하기 위해 결합할 드라이브를 선택합니다. -- 예상대로 장치를 볼 수 없을 수도 있습니다. RHEL 웹 콘솔에는 사용하지 않는 블록 장치만 표시됩니다. 사용된 장치는 예를 들어 다음을 의미합니다. +- 예상대로 장치를 볼 수 없을 수도 있습니다. Rocky 웹 콘솔에는 사용하지 않는 블록 장치만 표시됩니다. 사용된 장치는 예를 들어 다음을 의미합니다. - 파일 시스템으로 포맷된 장치 - 다른 볼륨 그룹의 물리적 볼륨 - 물리적 볼륨이 다른 소프트웨어 RAID 장치의 멤버
장치가 보이지 않으면 비어 있고 사용되지 않도록 포맷하십시오. @@ -376,7 +376,7 @@ Cube웹 콘솔은 LVM 볼륨 그룹 및 논리적 볼륨을 생성하기 위한 ### 논리 볼륨 생성 -논리 볼륨 생성 하려면 : +논리 볼륨을 생성하려면 : ![cube_storage18_webUI](../../assets/images/admin-guide/cube/repository/cube_storage18_webUI.png) @@ -405,7 +405,7 @@ Cube웹 콘솔은 LVM 볼륨 그룹 및 논리적 볼륨을 생성하기 위한 선택한 파일 시스템에 따라 논리 볼륨에 사용할 수 있는 구성 매개 변수가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일부 XFS 파일 시스템은 볼륨 축소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웹 콘솔에서 논리 볼륨 크기 조정을 참조하십시오. -논리 볼륨 포멧 하려면 : +논리 볼륨을 포멧하려면 : ![cube_storage19_webUI](../../assets/images/admin-guide/cube/repository/cube_storage19_webUI.png) @@ -439,7 +439,7 @@ Cube웹 콘솔은 LVM 볼륨 그룹 및 논리적 볼륨을 생성하기 위한 !!! warning GFS2 또는 XFS 파일 시스템이 포함된 볼륨은 줄일 수 없습니다. -논리 볼륨 축소 하려면 : +논리 볼륨을 축소하려면 : ![cube_storage21_webUI](../../assets/images/admin-guide/cube/repository/cube_storage21_webUI.png) @@ -450,7 +450,7 @@ Cube웹 콘솔은 LVM 볼륨 그룹 및 논리적 볼륨을 생성하기 위한 - **크기** 를 변경합니다. - **축소** 버튼을 클릭하여 논리 볼륨을 축소합니다. -논리 볼륨 확장 하려면 : +논리 볼륨을 확장하려면 : ![cube_storage23_webUI](../../assets/images/admin-guide/cube/repository/cube_storage23_webUI.png) @@ -464,7 +464,7 @@ Cube웹 콘솔은 LVM 볼륨 그룹 및 논리적 볼륨을 생성하기 위한 ### thin 논리 볼륨 구성 씬 프로비저닝된 논리 볼륨을 사용하면 실제 논리 볼륨에 포함된 공간보다 지정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버에 더 많은 공간을 할당할 수 있습니다. -thin 논리 볼륨 Pool 생성 하려면 : +thin 논리 볼륨 Pool 을 생성하려면 : ![cube_storage25_webUI](../../assets/images/admin-guide/cube/repository/cube_storage25_webUI.png) @@ -487,7 +487,7 @@ Pool에 thin 논리 볼륨을 만듭니다. Pool에는 여러 개의 thin 볼륨 !!! info 씬 볼륨을 사용하려면 논리적 볼륨의 실제 사용 가능한 물리적 공간을 정기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thin 논리 볼륨 생성 하려면 : +thin 논리 볼륨을 생성하려면 : ![cube_storage27_webUI](../../assets/images/admin-guide/cube/repository/cube_storage27_webUI.png) @@ -500,7 +500,7 @@ thin 논리 볼륨 생성 하려면 : ### 볼륨 그룹의 물리적 볼륨 추가 새로운 물리적 드라이브 또는 다른 유형의 볼륨을 기존 논리 볼륨에 추가, 변경할 수 있습니다. -볼륨 그룹에 물리적 볼륨을 추가 하려면 : +볼륨 그룹에 물리적 볼륨을 추가하려면 : ![cube_storage29_webUI](../../assets/images/admin-guide/cube/repository/cube_storage29_webUI.png) @@ -517,13 +517,9 @@ thin 논리 볼륨 생성 하려면 : ### 볼륨 그룹에 물리적 드라이브 삭제 -논리 볼륨에 여러 물리적 드라이브가 포함된 경우 온라인에서 물리적 드라이브 중 하나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논리 볼륨에 여러 물리적 드라이브가 포함된 경우 온라인에서 물리적 드라이브 중 하나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은 제거 프로세스 중에 제거할 드라이브의 모든 데이터를 다른 드라이브로 자동으로 이동합니다.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또한 웹 콘솔은 물리적 드라이브를 제거할 공간이 충분한지 확인합니다. -시스템은 제거 프로세스 중에 제거할 드라이브의 모든 데이터를 다른 드라이브로 자동으로 이동합니다.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 -또한 웹 콘솔은 물리적 드라이브를 제거할 공간이 충분한지 확인합니다. - -볼륨 그룹에 물리적 드라이브 삭제 하려면 : +볼륨 그룹의 물리적 드라이브를 삭제하려면 : ![cube_storage31_webUI](../../assets/images/admin-guide/cube/repository/cube_storage31_webUI.png) @@ -551,7 +547,7 @@ VDO는 다양한 유형의 스토리지를 기반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 ### VDO 볼륨 생성 -VDO 볼륨 생성하려면 : +VDO 볼륨을 생성하려면 : ![cube_storage32_webUI](../../assets/images/admin-guide/cube/repository/cube_storage32_webUI.png) @@ -584,7 +580,7 @@ VDO 볼륨은 물리적 드라이브 역할을 합니다. 파일을 사용하려 선택한 파일 시스템에 따라 논리 볼륨에 사용할 수 있는 구성 매개 변수가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일부 XFS 파일 시스템은 볼륨 축소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웹 콘솔에서 논리 볼륨 크기 조정을 참조하십시오. -VDO 볼륨 포멧하려면 : +VDO 볼륨을 포멧하려면 : ![cube_storage33_webUI](../../assets/images/admin-guide/cube/repository/cube_storage33_webUI.png) @@ -644,7 +640,7 @@ Cube 웹 콘솔의 저장소 탭에서 LUKS(Linux Unified Key Setup) 버전2 형 LUKS(Linux Unified Key Setup-on-Disk-format)를 사용하면 블록 장치를 암호화할 수 있으며 암호화된 장치 관리를 간소화하는 도구 집합을 제공합니다. LUKS를 사용하면 여러 사용자 키가 파티션의 대량 암호화에 사용되는 마스터 키를 해독할 수 있습니다. -RHEL은 LUKS를 사용하여 블록 장치 암호화를 수행합니다. 기본적으로 설치 중에 차단 장치를 암호화하는 옵션은 선택 해제되어 있습니다. 디스크를 암호화하는 옵션을 선택하면 시스템을 부팅할 때마다 암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이 암호문은 파티션을 해독하는 대량 암호화 키를 "잠금 해제"합니다. 기본 파티션 테이블을 수정하도록 선택한 경우 암호화할 파티션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파티션 테이블 설정에서 설정됩니다. +Rocky Linux는 LUKS를 사용하여 블록 장치 암호화를 수행합니다. 기본적으로 설치 중에 차단 장치를 암호화하는 옵션은 선택 해제되어 있습니다. 디스크를 암호화하는 옵션을 선택하면 시스템을 부팅할 때마다 암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이 암호문은 파티션을 해독하는 대량 암호화 키를 "잠금 해제"합니다. 기본 파티션 테이블을 수정하도록 선택한 경우 암호화할 파티션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파티션 테이블 설정에서 설정됩니다. LUKS가 하는 작업 : @@ -670,7 +666,7 @@ LUKS에 사용되는 기본 암호는 aes-xts-plain64입니다. LUKS의 기본 LUKS 암호 구성 -LUKS 암호 구성하려면 : +LUKS 암호를 구성하려면 : ![cube_storage35_webUI](../../assets/images/admin-guide/cube/repository/cube_storage35_webUI.png) @@ -684,7 +680,7 @@ LUKS 암호 구성하려면 : ### LUKS 암호 변경 -LUKS 암호 변경하려면 : +LUKS 암호를 변경하려면 : ![cube_storage36_webUI](../../assets/images/admin-guide/cube/repository/cube_storage36_webUI.png) diff --git a/docs/admin-guide/cube/cube-admin-guide-service.md b/docs/admin-guide/cube/cube-admin-guide-service.md index 4f464b72..310d1e9a 100644 --- a/docs/admin-guide/cube/cube-admin-guide-service.md +++ b/docs/admin-guide/cube/cube-admin-guide-service.md @@ -1,13 +1,13 @@ # 서비스 ## 개요 -Cube의 웹 콘솔에서 시스템 서비스를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서비스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고 다시 시작하거나 다시 로드하거나 자동 시작을 관리 할 수 있습니다. +Cube의 웹 콘솔에서 시스템 서비스를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서비스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고 다시 시작하거나 다시 로드하거나 자동 시작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의 현재 상태를 보여주며, 이름이나 설명 및 사용, 사용 안함 또는 정적 자동 시작으로 서비스를 필터링 할 수 있습니다. 대상, 소켓, 타이머 또는 경로를 관리하려면 상단 메뉴에서 해당 탭으로 전환하면 됩니다. +서비스의 현재 상태를 보여주며, 이름이나 설명 및 사용, 사용 안함 또는 정적 자동 시작으로 서비스를 필터링할 수 있습니다. 대상, 소켓, 타이머 또는 경로를 관리하려면 상단 메뉴에서 해당 탭으로 전환하면 됩니다. ![cube-service-list](../../assets/images/admin-guide/cube/service/cube-service-list.png) !!! info - 관리 권한이 없는 사용자 계정의 경우 읽기 전용으로, 서비스 관리 기능을 사용하려면 관리자 권한으로 변경해야합니다. + 관리 권한이 없는 사용자 계정의 경우 읽기 전용으로 접근되므로, 서비스 관리 기능을 사용하려면 관리자 권한으로 변경해야합니다. ## 시스템 서비스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diff --git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accounts.md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accounts.md index 9913cb9f..21722e08 100644 ---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accounts.md +++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accounts.md @@ -12,7 +12,7 @@ ## 계정 추가 -1. 계정 추가 버튼 클릭 하여 계정 추가 팝업을 호출합니다. +1. 계정 추가 버튼을 클릭하여 계정 추가 팝업을 호출합니다. ![accounts 추가 버튼](../../assets/images/admin-guide/mold/accounts/accounts-add-btn.png){ .imgCenter .imgBorder } @@ -23,7 +23,7 @@ * **역할:** 역할을 선택합니다. * **사용자 이름:** 사용자 이름을 입력합니다. * **비밀번호:**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 * **비밀번호 확인 입력:** 비밀번호 확인 입력을 입력합니다. + * **비밀번호 확인 입력:** 비밀번호을 다시 입력합니다. * **이메일:** 이메일을 입력합니다. * **이름:** 이름을 입력합니다. * **성:** 성을 입력합니다. @@ -53,12 +53,12 @@ ![리소스 수 업데이트 화면](../../assets/images/admin-guide/mold/accounts/accounts-resource-update.png){ .imgCenter .imgBorder }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리소스 수 업데이트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리소스 수를 업데이트합니다. ## 계정 비활성화 !!! warning - 해당 계정의 모든 사용자가 클라우드 리소스에 접근 할 수 없게 됩니다. 실행중인 모든 가상머신은 바로 종료 됩니다. + 해당 계정의 모든 사용자가 클라우드 리소스에 접근 할 수 없게 됩니다. 실행 중인 모든 가상머신은 바로 종료 됩니다. 1. 해당 계정을 비활성화합니다. @@ -85,9 +85,9 @@ ## 계정 잠금 !!! warning - 해당 계정의 모든 사용자가 클라우드 리소스를 관리할 수 없게 됩니다. 그 후도 기존 Zone 리소스에는 접근 할 수 있습니다. + 해당 계정의 모든 사용자가 클라우드 리소스를 관리할 수 없게 됩니다. 그 후에도 기존 Zone 리소스에는 접근 할 수 있습니다. -1. 해당 계정을 잠금 설정니다. +1. 해당 계정을 잠금 설정합니다. ![계정 잠금 버튼](../../assets/images/admin-guide/mold/accounts/accounts-lock-btn.png){ .imgCenter .imgBorder } @@ -139,11 +139,11 @@ ![계정 구성제한 탭](../../assets/images/admin-guide/mold/accounts/account-limits-tab1.png){ .imgCenter .imgBorder } - * 자원 할당 수를 확인 하거나 변경합니다. + * 자원 할당 수를 확인하거나 변경합니다. ![계정 구성제한 탭](../../assets/images/admin-guide/mold/accounts/account-limits-tab2.png){ .imgCenter .imgBorder } - * **보내기** 버튼을 클릭하여 구성 제한을 편경합니다. + * **보내기** 버튼을 클릭하여 구성 제한을 변경합니다. ## 인증서 탭 @@ -163,7 +163,7 @@ ![계정 설정 편집](../../assets/images/admin-guide/mold/accounts/accounts-setting-update-btn.png){ .imgCenter .imgBorder } - * 설정 값을 수정후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해당 계정에 설정 값을 변경합니다. + * 설정 값을 수정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해당 계정에 설정 값을 변경합니다. ### 기본값으로 재설정 diff --git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automation-controller-templates.md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automation-controller-templates.md index a57e38e2..949e7040 100644 ---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automation-controller-templates.md +++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automation-controller-templates.md @@ -2,7 +2,7 @@ # 컨트롤러 템플릿 ## 개요 -ABLESTACK에서 제공하는 자동화 기능을 수행하는 컨트롤러 템플릿입니다. 자동화 기능을 사용시려면 해당 템플릿을 사용해야합니다. +ABLESTACK에서 제공하는 자동화 기능을 수행하는 컨트롤러 템플릿입니다. 자동화 기능을 사용하려면 해당 템플릿을 사용해야합니다. ## 목록 조회 diff --git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automation-controller.md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automation-controller.md index 712a148d..35924f7d 100644 ---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automation-controller.md +++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automation-controller.md @@ -1,8 +1,8 @@ -# 컨트롤러 템플릿 +# 오토메이션 컨트롤러 ## 개요 -ABLESTACK에서 제공하는 자동화 기능을 수행하는 오토메이션 컨트롤러를 관리하는 기능입니다. 해당 기능으로 미리 구성된 자동화 도구 Playbook을 실행여 자동으로 가상머신 및 네트워크를 생성하고 서비스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ABLESTACK에서 제공하는 자동화 기능을 수행하는 오토메이션 컨트롤러를 관리하는 기능입니다. 해당 기능으로 미리 구성된 자동화 도구 Playbook을 실행하여 자동으로 가상머신 및 네트워크를 생성하고 서비스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 목록 조회 @@ -98,7 +98,7 @@ ABLESTACK에서 제공하는 자동화 기능을 수행하는 오토메이션 ## 네트워크 탭 -1. 오토메이션 컨트롤러에 네트워크를 조회하는 화면입니다. +1. 오토메이션 컨트롤러의 네트워크를 조회하는 화면입니다. ![오토메이션 컨트롤러 네트워크 탭](../../assets/images/admin-guide/mold/automation/automation-controller-network-tab.png){ .imgCenter .imgBorder } diff --git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compute-affinity-group.md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compute-affinity-group.md index 86593ea0..3fe942cb 100644 ---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compute-affinity-group.md +++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compute-affinity-group.md @@ -5,7 +5,7 @@ Affinity 그룹은 클라우드 환경에서 가상 머신(VM) 간의 배치를 제어하는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특정 VM들이 동일한 호스트에 배치되거나 서로 다른 호스트에 배치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를 활용하면 성능 최적화, 가용성 향상 및 네트워크 지연 최소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Affinity 그룹 조회 -Affinity 그룹 목록을 확인하는 화면입니다. 생성된 Affinity 그룹 목록을 확인하거나 Affinity 그룹에 대한 이름, UUID, 설명, 유형, 계정, 도메인등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Affinity 그룹 목록을 확인하는 화면입니다. 생성된 Affinity 그룹 목록을 확인하거나 Affinity 그룹에 대한 이름, UUID, 설명, 유형, 계정, 도메인 등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Affinity 그룹 목록 조회](../../assets/images/admin-guide/mold/compute/affinity-group/mold-admin-guide-compute-affinity-group-1.png){ .imgCenter .imgBorder } ## 새 Affinity 그룹 추가 @@ -35,9 +35,9 @@ Affinity 그룹 상세 오른쪽 상단의 Affinity 그룹 삭제 버튼을 클 ![Affinity 그룹 삭제](../../assets/images/admin-guide/mold/compute/affinity-group/mold-admin-guide-compute-affinity-group-5.png){ .imgCenter .imgBorder } ## Affinity 그룹 상세 탭 -Affinity 그룹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인하는 화면입니다. 좌측 화면의 "가상머신 보기" 버튼을 통해 해당 Affinity 그룹에 속한 가상머신들을 확인할 수 있으며 우측 화면에서는 목록이름, UUID, 설명, 유형, 계정, 도메인등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Affinity 그룹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인하는 화면입니다. 좌측 화면의 "가상머신 보기" 버튼을 통해 해당 Affinity 그룹에 속한 가상머신들을 확인할 수 있으며 우측 화면에서는 목록이름, UUID, 설명, 유형, 계정, 도메인 등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Affinity 그룹 상세 정보](../../assets/images/admin-guide/mold/compute/affinity-group/mold-admin-guide-compute-affinity-group-6.png){ .imgCenter .imgBorder } ## Affinity 그룹 이벤트 -Affinity 그룹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확인하는 화면입니다. 해당 Affinity 그룹의 유형 및 생성일 등 확인할 수 있습니다. +Affinity 그룹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확인하는 화면입니다. 해당 Affinity 그룹의 유형 및 생성일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Affinity 그룹 이벤트](../../assets/images/admin-guide/mold/compute/affinity-group/mold-admin-guide-compute-affinity-group-7.png){ .imgCenter .imgBorder } diff --git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compute-vm-snapshots.md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compute-vm-snapshots.md index 4394fff5..15dac527 100644 ---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compute-vm-snapshots.md +++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compute-vm-snapshots.md @@ -4,7 +4,7 @@ ## 개요 Mold에서 VM 스냅샷을 관리하는 기능입니다. VM 스냅샷은 가상머신의 특정 시점 상태를 저장하여 이후 복원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으로, 시스템 장애 발생 시 빠르게 복구하거나 중요한 변경 전에 백업용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가상머신 메뉴에서 스냅샷을 생성하면 해당 시점의 VM 디스크 및 메모리 상태가 저장되며, -필요할 때 이를 활용하여 동일한 상태로 복원할 수 있습니다. Mold에서는 VM 스냅샷을 수동으로 생성하거나 일정에 따라 자동으로 생성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필요할 때 이를 활용하여 동일한 상태로 복원할 수 있습니다. Mold에서는 VM 스냅샷을 수동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 VM 스냅샷 조회 VM 스냅샷 조회 기능은 Mold에서 생성된 VM 스냅샷 목록을 확인하고 세부 정보를 검토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diff --git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compute-vm.md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compute-vm.md index 57952620..7f968297 100644 ---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compute-vm.md +++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compute-vm.md @@ -132,7 +132,7 @@ Mold의 가상머신(Virtual Machine, VM) 메뉴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 **HA(High Availability) 활성화**: HA 활성화를 설정하여 고가용성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그룹**: 가상 머신을 특정 그룹에 할당할 수 있습니다. 그룹을 통해 관련된 가상 머신들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 **Userdata**: 가상 머신의 주로 초기 설정 및 스크립트 실행에 사용되는 Userdata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삭제 보호**: 제 보호를 활성화하여, 해당 가상 머신이 실수로 삭제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습니다. +* **삭제 보호**: 삭제 보호를 활성화하여, 해당 가상 머신이 실수로 삭제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습니다. * 삭제 보호 활성화: 삭제 보호를 활성화하면, 해당 가상 머신은 삭제 시도가 있더라도 보호됩니다. 사용자는 명시적으로 삭제 명령을 실행하거나, 보호 기능을 비활성화해야만 삭제가 가능합니다. * 만약 가상 머신이 자동 확장 그룹(autoscaling groups)이나 Cloud Kubernetes Service (CKS)와 같은 다른 서비스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면, 삭제 보호 기능은 무시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서비스들은 가상 머신의 생애 주기를 관리하며, 자동으로 가상 머신을 생성하거나 삭제할 수 있기 때문에 삭제 보호 기능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diff --git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domains.md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domains.md index 6ccef3d5..abbd1012 100644 ---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domains.md +++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domains.md @@ -2,18 +2,18 @@ # 도메인 ## 개요 -도메인은 클라우드 환경에서 계정과 리소스를 계층적으로 관리하는 최상위 단위이다. -각 도메인은 하위 도메인과 계정을 포함할 수 있어 멀티테넌시 구조를 지원하며, 관리자는 도메인별로 정책과 리소스 할당을 제어할 수 있다. +도메인은 클라우드 환경에서 계정과 리소스를 계층적으로 관리하는 최상위 단위입니다. +각 도메인은 하위 도메인과 계정을 포함할 수 있어 멀티테넌시 구조를 지원하며, 관리자는 도메인별로 정책과 리소스 할당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도메인은 격리된 환경을 제공하여 보안과 독립성을 보장하며, 특정 조직이나 부서 단위로 활용할 수 있다. -도메인 내 계정은 가상머신,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리소스를 생성하고 운영할 수 있으며, 상위 도메인은 하위 도메인의 리소스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메인 기반으로 사용자 접근 권한을 설정할 수 있어, 각 계정은 허용된 리소스만 사용할 수 있다. +도메인은 격리된 환경을 제공하여 보안과 독립성을 보장하며, 특정 조직이나 부서 단위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도메인 내 계정은 가상머신,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리소스를 생성하고 운영할 수 있으며, 상위 도메인은 하위 도메인의 리소스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또한, 도메인 기반으로 사용자 접근 권한을 설정할 수 있어, 각 계정은 허용된 리소스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도메인 계층 구조는 대규모 클라우드 환경에서도 유연한 관리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각 도메인에는 리소스 제한을 설정할 수 있어 무분별한 자원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메인 계층 구조는 대규모 클라우드 환경에서도 유연한 관리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각 도메인에는 리소스 제한을 설정할 수 있어 무분별한 자원 사용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API 및 UI를 통해 도메인을 생성, 수정, 삭제 할 수 있으며, 특정 도메인의 리소스를 조회하고 관리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클라우드 환경에서 효율적인 계층적 리소스 관리와 보안 정책 적용이 가능하다. +API 및 UI를 통해 도메인을 생성, 수정, 삭제할 수 있으며, 특정 도메인의 리소스를 조회하고 관리할 수도 있습니다. +이를 통해, 클라우드 환경에서 효율적인 계층적 리소스 관리와 보안 정책 적용이 가능합니다. ## 도메인 목록 조회 1. 도메인 목록을 확인하는 화면입니다. 생성된 도메인 목록을 확인하거나 도메인 추가 버튼을 클릭하여 도메인을 생성하실 수 있습니다. @@ -106,7 +106,7 @@ API 및 UI를 통해 도메인을 생성, 수정, 삭제 할 수 있으며, 특 ![도메인 설정 탭](../../assets/images/admin-guide/mold/domain/domain-setting.png){ .imgCenter .imgBorder } ## 도메인 이벤트 탭 -1. 도메인 목록 조회에서 확인하고 싶은 도메인 목록을 조회합니다. 도메인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확인하는 화면입니다. 해당 이벤트에 대한 유형 및 생성일 등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도메인 목록 조회에서 확인하고 싶은 도메인 목록을 조회합니다. 도메인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확인하는 화면입니다. 해당 이벤트에 대한 유형 및 생성일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도메인 이벤트 탭](../../assets/images/admin-guide/mold/domain/domain-event.png){ .imgCenter .imgBorder } ## 도메인 코멘트 탭 diff --git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mage-kubernetes-iso.md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mage-kubernetes-iso.md index 66db2721..9fd5bc94 100644 ---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mage-kubernetes-iso.md +++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mage-kubernetes-iso.md @@ -54,6 +54,6 @@ ## 용어사전 * 시멘틱 버전 - * Kubernetes 클러스터를 정의할 떄 사용하는 버전 형식. + * Kubernetes 클러스터를 정의할 때 사용하는 버전 형식. * 체크섬 * 파일이나 데이터가 전송 또는 저장 과정에서 손상되거나 변조되지 않았는지를 확인하는 값. diff --git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mage-template.md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mage-template.md index 0cdc6369..1d46c66b 100644 ---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mage-template.md +++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mage-template.md @@ -143,7 +143,7 @@ ## 용어사전 * 템플릿 형식 - * 템플릿을 어던 용도로 만들어졌는지 또는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를 나타내는 논리적인 구분 + * 템플릿을 어떤 용도로 만들어졌는지 또는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를 나타내는 논리적인 구분 * user : 사용자가 생성하거나 등록한 일반 VM 템플릿 * system : 내부 기능을 위한 시스템 VM(console proxy vm, secondary storage vm)을 위한 템플릿 * builtin : 기본 제공하는 내장 템플릿 diff --git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nfrastructure-clusters.md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nfrastructure-clusters.md index b0376bef..70d2fe0d 100644 ---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nfrastructure-clusters.md +++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nfrastructure-clusters.md @@ -12,7 +12,7 @@ ## 클러스터 추가 -1. 클러스터 추가 버튼 클릭 하여 클러스터 추가 팝업을 호출합니다. +1. 클러스터 추가 버튼을 클릭 하여 클러스터 추가 팝업을 호출합니다. ![cluster 추가 버튼](../../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clusters/cluster-add-btn.png){ .imgCenter .imgBorder } @@ -38,7 +38,7 @@ ![cluster 편집 화면](../../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clusters/cluster-update.png){ .imgCenter .imgBorder } * 수정할 **항목** 을 입력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Cluster 업데이트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Cluster를 업데이트합니다. ## 클러스터 비활성화 @@ -50,7 +50,7 @@ ![클러스터 비활성화 화면](../../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clusters/cluster-disable.png){ .imgCenter .imgBorder }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클러스터 비활성화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클러스터를 비활성화합니다. ## 클러스터 활성화 @@ -62,7 +62,7 @@ ![클러스터 활성화 화면](../../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clusters/cluster-enable.png){ .imgCenter .imgBorder }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클러스터 활성화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클러스터를 활성화합니다. ## 클러스터 관리 해제 @@ -74,7 +74,7 @@ ![클러스터 관리 해제 화면](../../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clusters/cluster-unmanage.png){ .imgCenter .imgBorder }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클러스터 관리해제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클러스터를 관리해제합니다. ## 클러스터 관리 @@ -86,11 +86,11 @@ ![클러스터 관리 화면](../../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clusters/cluster-manage.png){ .imgCenter .imgBorder }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클러스터 관리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클러스터를 관리합니다. ## 원격 관리 비활성화 -1. 해당 Cluster 원격 관리 비활성화합니다. +1. 해당 Cluster 원격 관리를 비활성화합니다. ![Cluster 원격 관리 비활성화 버튼](../../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clusters/out-of-band-disable-btn.png){ .imgCenter .imgBorder } @@ -98,7 +98,7 @@ ![Cluster 원격 관리 비활성화 화면](../../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clusters/out-of-band-disable.png){ .imgCenter .imgBorder }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원격 관리 비활성화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원격 관리를 비활성화합니다. ## 원격 관리 활성화 @@ -110,11 +110,11 @@ ![Cluster 원격 관리 활성화 화면](../../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clusters/out-of-band-enable.png){ .imgCenter .imgBorder }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원격 관리 활성화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원격 관리를 활성화합니다. ## 롤링 유지 관리 시작 -1. 해당 클러스터에 호스트에 대하여 롤링 유지 관리하는 기능입니다. +1. 해당 클러스터의 호스트에 대하여 롤링 유지 관리하는 기능입니다. ![롤링 유지 관리 시작 버튼](../../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clusters/rolling-maintenance-btn.png){ .imgCenter .imgBorder } @@ -122,9 +122,9 @@ ![롤링 유지 관리 시작 화면](../../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clusters/rolling-maintenance.png){ .imgCenter .imgBorder } - * **시간초과:** 을 입력합니다. + * **시간초과:** 시간(초 단위)을 입력합니다. * **payload:** payload에 실행할 명령을 입력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롤링 유지 관리 시작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롤링 유지 관리를 시작합니다. ## 클러스터 삭제 @@ -146,7 +146,7 @@ ## 리소스 탭 -1. 클러스터에 할당된 자원의 상태를 조회하는 화면입니다. 해당 클러스터에서 할당량과 활당 가능량을 확인 가능하며 메모리, CPU, 기본 스토리지 사용량, 할당된 기본 스토리지, GPU, CPU 코어수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클러스터에 할당된 자원의 상태를 조회하는 화면입니다. 해당 클러스터에서 현재 할당량과 할당 가능량을 확인 가능하며 메모리, CPU, 기본 스토리지 사용량, 할당된 기본 스토리지, GPU, CPU 코어수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리소스 탭](../../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clusters/cluster-allocated-resource-tab.png){ .imgCenter .imgBorder } @@ -173,7 +173,7 @@ ## DRS 탭 !!! info - DRS로 가상머신이 재분배 될때 라이브 마이그레이션으로 동작합니다. + DRS로 가상머신이 재분배될 때 라이브 마이그레이션으로 동작합니다. 1. 클러스터내 가상머신 자원 CPU, Memory 사용량을 토대로 자원을 분산하는 스케줄을 만들어 클러스터내 모든 호스트에 고르게 분배합니다. @@ -181,7 +181,7 @@ ### DRS 계획 생성 -1. DRS 계획을 생성하여 배포계획을 보여줍니다. 배포 계획이 없는 DRS 설정 기준치에 적절하게 배포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1. DRS 계획을 생성하여 배포계획을 보여줍니다. 배포 계획이 없는 DRS는 설정 기준치에 적절하게 배포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cluster DRS 계획 생성](../../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clusters/cluster-drs-btn.png){ .imgCenter .imgBorder } diff --git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nfrastructure-dr-cluster.md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nfrastructure-dr-cluster.md index 6eef0317..b701f5f3 100644 ---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nfrastructure-dr-cluster.md +++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nfrastructure-dr-cluster.md @@ -15,7 +15,7 @@ ABLESTACK의 가상 인프라 및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할 수 있는 ## 재난 복구 클러스터 추가 -1. 재난 복구 클러스터 추가 버튼 클릭 하여 재난 복구 클러스터 추가 팝업을 호출합니다. +1. 재난 복구 클러스터 추가을 버튼 클릭 하여 재난 복구 클러스터 추가 팝업을 호출합니다. ![재난 복구 클러스터 추가 버튼](../../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dr-cluster/dr-cluster-add-btn.png){ .imgCenter .imgBorder } @@ -125,7 +125,7 @@ ABLESTACK의 가상 인프라 및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설정 편집](../../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dr-cluster/dr-cluster-setting-update-btn.png){ .imgCenter .imgBorder } - * 설정 값을 수정후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해당 재난 복구 클러스에 설정 값을 변경합니다. + * 설정 값을 수정후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해당 재난 복구 클러스터의 설정 값을 변경합니다. ### 기본값으로 재설정 diff --git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nfrastructure-hosts.md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nfrastructure-hosts.md index e304d522..d55c019a 100644 ---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nfrastructure-hosts.md +++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nfrastructure-hosts.md @@ -12,7 +12,7 @@ ## 호스트 추가 -1. 호스트 추가 버튼 클릭 하여 호스트 추가 팝업을 호출합니다. +1. 호스트 추가 버튼을 클릭 하여 호스트 추가 팝업을 호출합니다. ![host 추가 버튼](../../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hosts/host-add-btn.png){ .imgCenter .imgBorder } @@ -57,7 +57,7 @@ 2. 호스트 디바이스 이관 하기위한 화면입니다. !!! warning - 호스트 장치를 가상머신에 이관하기 위해서는 가상머신을 완전히 정지 후 시작하셔야 적용이 됩니다. (글로벌 설정에서 enable.additional.vm.configuratio를 true로 설정해야합니다.) + 호스트 장치를 가상머신에 이관하기 위해서는 가상머신을 완전히 정지 후 시작하셔야 적용이 됩니다. (글로벌 설정에서 enable.additional.vm.configuration 을 true로 설정해야합니다.) ![host 추가 화면](../../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hosts/host-device-migration.png){ .imgCenter .imgBorder } @@ -103,17 +103,17 @@ ## 호스트 보안 키 프로비저닝 -1. 호스트 보안 키 프로비저닝할 수 있습니다. +1. 호스트 보안 키를 프로비저닝할 수 있습니다. + !!! warning 새 X509 인증서를 적용한 후 Host Agent 및 libvirtd 프로세스를 다시 시작합니다. - ![호스트 보안 키 프로비저닝 버튼](../../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hosts/provision-host-security-keys-btn.png){ .imgCenter .imgBorder } * **호스트 보안 키 프로비저닝** 버튼을 클릭하여 호스트 보안 키 프로비저닝 화면을 호출합니다. ![호스트 보안 키 프로비저닝 화면](../../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hosts/provision-host-security-keys.png){ .imgCenter .imgBorder }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호스트 보안 키 프로비저닝 업데이트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호스트 보안 키 프로비저닝 업데이트를 합니다. ## 강제 재연결 @@ -130,7 +130,7 @@ ## 호스트 비활성화 !!! info - 호스트 활성화, 비활성화를 하기 위해서는 enable.kvm.host.auto.enable.disable 설정 값을 true 로 체크해야합니다. + 호스트를 활성화, 비활성화를 하기 위해서는 enable.kvm.host.auto.enable.disable 설정 값을 true 로 체크해야합니다. 1. 해당 호스트를 비활성화합니다. @@ -140,7 +140,7 @@ ![호스트 비활성화 화면](../../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hosts/host-disable.png){ .imgCenter .imgBorder }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호스트 비활성화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호스트를 비활성화합니다. ## 호스트 활성화 @@ -152,14 +152,14 @@ ![호스트 활성화 화면](../../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hosts/host-enable.png){ .imgCenter .imgBorder }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호스트 활성화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호스트를 활성화합니다. ## 유지보수 모드 활성화 !!! info - 호스트 유지보수 모드로 설정하면 호스트의 모든 가상머신을 다른 호스트로 마이그레이션합니다. + 호스트를 유지보수 모드로 설정하면 해당 호스트의 모든 가상머신을 다른 호스트로 마이그레이션합니다. -1. 해당 호스트를 유지보수 모드 활성화화합니다. +1. 해당 호스트를 유지보수 모드 활성화합니다. ![유지보수 모드 활성화 버튼](../../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hosts/host-maintenance-mode-enable-btn.png){ .imgCenter .imgBorder } @@ -167,11 +167,11 @@ ![유지보수 모드 활성화 화면](../../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hosts/host-maintenance-mode-enable.png){ .imgCenter .imgBorder }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호스트 비활성화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유지보수 모드 활성화를 합니다. ## 유지보수 모드 비활성화 -1. 해당 호스트를 유지보수 모드 비활성화합니다. +1. 해당 호스트를 유지보수 모드를 비활성화합니다. ![유지보수 모드 비활성화 버튼](../../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hosts/host-maintenance-mode-disable-btn.png){ .imgCenter .imgBorder } @@ -179,11 +179,11 @@ ![유지보수 모드 비활성화 화면](../../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hosts/host-maintenance-mode-disable.png){ .imgCenter .imgBorder }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유지보수 모드 비활성화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유지보수 모드를 비활성화합니다. ## 원격 관리 구성 -1. 원격 관리 구성 버튼 클릭 하여 원격 관리 구성 팝업을 호출합니다. +1. 원격 관리 구성 버튼을 클릭하여 원격 관리 구성 팝업을 호출합니다. ![원격 관리 구성 버튼](../../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hosts/oobm-management-btn.png){ .imgCenter .imgBorder } @@ -196,12 +196,12 @@ * **사용자 이름:** 사용자 이름을 입력합니다. * **비밀번호:**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 **드라이버:** 드라이버를 선택합니다. - * **관리콜솔 프로토콜:** 관리콜솔 프로토콜을 선택합니다. + * **관리콘솔 프로토콜:** 관리콘솔 프로토콜을 선택합니다.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원격 관리 구성을 설정합니다. ## 원격 관리 비활성화 -1. 해당 Host 원격 관리 비활성화합니다. +1. 해당 Host 원격 관리를 비활성화합니다. ![Host 원격 관리 비활성화 버튼](../../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hosts/out-of-band-disable-btn.png){ .imgCenter .imgBorder } @@ -209,11 +209,14 @@ ![Host 원격 관리 비활성화 화면](../../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hosts/out-of-band-disable.png){ .imgCenter .imgBorder }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원격 관리 비활성화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원격 관리를 비활성화합니다. ## 원격 관리 활성화 -1. 해당 Host 원격 관리 활성화합니다. +1. 해당 Host 원격 관리를 활성화합니다. + + !!! info + 원격 관리 활성화를 위해서는 먼저 [원격 관리 구성 정보](./mold-admin-guide-infrastructure-hosts.md#원격-관리-구성)가 입력되어 있어야 합니다. ![Host 원격 관리 활성화 버튼](../../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hosts/out-of-band-enable-btn.png){ .imgCenter .imgBorder } @@ -221,11 +224,11 @@ ![Host 원격 관리 활성화 화면](../../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hosts/out-of-band-enable.png){ .imgCenter .imgBorder }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원격 관리 활성화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원격 관리를 활성화합니다. ## 원격 관리 전원 조치 실행 -1. 원격 관리 전원 조치 실행 버튼 클릭 하여 호스트를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는 팝업을 호출합니다. +1. 원격 관리 전원 조치 실행 버튼을 클릭 하여 호스트를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는 팝업을 호출합니다. ![원격 관리 전원 조치 실행 버튼](../../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hosts/oobm-management-power-action-btn.png){ .imgCenter .imgBorder } @@ -234,7 +237,7 @@ ![원격 관리 전원 조치 실행 화면](../../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hosts/oobm-management-power-action.png){ .imgCenter .imgBorder } * 호스트 원격관리 **동작** 을 선택합니다. ( ON, OFF, CYCLE, RESET, SOFT, STATUS )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원격 관리 구성을 설정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원격 관리 전원 조치를 실행합니다. ## 원격 관리 비밀번호 변경 @@ -247,7 +250,7 @@ ![원격 관리 비밀번호 변경 화면](../../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hosts/oobm-passwd-reset.png){ .imgCenter .imgBorder } * **비밀번호:**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원격 관리 비밀번호 변경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원격 관리 비밀번호를 변경합니다. ## HA 구성 @@ -260,7 +263,7 @@ ![HA 구성 화면](../../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hosts/ha-config.png){ .imgCenter .imgBorder } * **제공자:** 제공자를 선택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HA 구성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HA를 구성합니다. ## HA 활성화 @@ -272,7 +275,7 @@ ![호스트 HA 활성화 화면](../../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hosts/host-ha-enable.png){ .imgCenter .imgBorder }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호스트 HA 활성화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호스트 HA를 활성화합니다. ## HA 비활성화 @@ -284,7 +287,7 @@ ![호스트 HA 비활성화 화면](../../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hosts/host-ha-disable.png){ .imgCenter .imgBorder }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호스트 HA 비활성화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호스트 HA를 비활성화합니다. ## 롤링 유지 관리 시작 @@ -296,7 +299,7 @@ ![롤링 유지 관리 시작 화면](../../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hosts/rolling-maintenance.png){ .imgCenter .imgBorder } - * **시간초과:** 시간초과를 입력합니다. + * **시간초과:** 시간(초 단위)을 입력합니다. * **payload:** payload에 실행할 명령을 입력합니다.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롤링 유지 관리 시작합니다. diff --git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nfrastructure-internal-lb.md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nfrastructure-internal-lb.md index b9daadbb..37de4e3f 100644 ---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nfrastructure-internal-lb.md +++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nfrastructure-internal-lb.md @@ -2,7 +2,7 @@ # 내부 LB ## 개요 -내부 LB는 VPC(Virtual Private Cloud) 내에서만 트래픽을 분배하는 기능입니다. VPC는 가상 네트워크를 만들고 내부 LB는 이 네트워크 내에서 여러 서버들 간에 트래픽을 고르게 분배합니다. 이를 통해 서버의 부하를 분산시키고 한 서버에 장애발생 시 자동으로 다른 서버로 트래픽을 우회시켜 서비스의 안정성을 유지합니다. 또한 외부와 격리된 상태에서만 작동하므로 보안이 강화됩니다. 이를 통해 클라우드 환경에서 효율적이고 안전한 로드 밸런싱을 제공합니다. +내부 LB는 VPC(Virtual Private Cloud) 내에서만 트래픽을 분배하는 기능입니다. VPC는 가상 네트워크를 만들고 내부 LB는 이 네트워크 내에서 여러 서버들 간에 트래픽을 고르게 분배합니다. 이를 통해 서버의 부하를 분산시키고 한 서버에서 장애발생 시 자동으로 다른 서버로 트래픽을 우회시켜 서비스의 안정성을 유지합니다. 또한 외부와 격리된 상태에서만 작동하므로 보안이 강화됩니다. 이를 통해 클라우드 환경에서 효율적이고 안전한 로드 밸런싱을 제공합니다. ## 목록 조회 @@ -36,7 +36,7 @@ ## 클립보드에 콘솔 URL 복사 -1. 내부 LB의 콘솔에 접근할 수 있는 URL 복사할 수 있습니다. +1. 내부 LB의 콘솔에 접근할 수 있는 URL을 복사할 수 있습니다. ![internal lb 클립보드에 콘솔 URL 복사](../../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internal-lb/internal-lb-console-url-copy-btn.png){ .imgCenter .imgBorder } @@ -66,7 +66,7 @@ ## 라우터 마이그레이션 -1. 내부 LB 다른 호스트로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습니다. +1. 내부 LB를 다른 호스트로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습니다. ![내부 LB 마이그레이션 버튼](../../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internal-lb/internal-lb-migrate-btn.png){ .imgCenter .imgBorder } diff --git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nfrastructure-management-server.md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nfrastructure-management-server.md index ebe89a48..2ab958d1 100644 ---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nfrastructure-management-server.md +++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nfrastructure-management-server.md @@ -2,7 +2,7 @@ # 관리 서버 ## 개요 -관리 서버는 ABLESTACK 클라우드 인프라의 중앙 관리 서버로, 클라우드 자원(가상 머신, 네트워크 등)을 관리하고 사용자 요청을 처리합니다. 관리 서버는 리소스를 할당하고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장애 발생 시 알림을 제공합니다. 또한 네트워크와 보안 설정, API 처리, 서비스 배포를 담당하며 클라우드 환경의 효율적인 운영을 지원합니다. Management Server는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클라우드 환경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합니다. +관리 서버는 ABLESTACK 클라우드 인프라의 중앙 관리 서버로, 클라우드 자원(가상 머신, 네트워크 등)을 관리하고 사용자 요청을 처리합니다. 관리 서버는 리소스를 할당하고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장애 발생 시 알림을 제공합니다. 또한 네트워크와 보안 설정, API 처리, 서비스 배포를 담당하며 클라우드 환경의 효율적인 운영을 지원합니다. 관리 서버는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클라우드 환경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합니다. ## 목록 조회 @@ -20,12 +20,12 @@ ![shutdown 준비 화면](../../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management-server/prepare-for-shutdown.png){ .imgCenter .imgBorder }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관리 서버를 Shutdown 준비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관리 서버 Shutdown을 준비합니다. ## 안전 종료 트리거 !!! warning - 이 작업을 수행하면 Mold 서비스가 종료 됩니다. 재시작은 Cube에 접속하여 Mold를 시작하거나, systemctl start mold 명령을 통해 시작 가능합니다. + 이 작업을 수행하면 Mold 서비스가 종료 됩니다. 재시작은 Cube에 접속하여 Mold를 시작하거나, 클라우드센터 VM 내에서 systemctl start mold 명령을 통해 시작 가능합니다. 1. 관리 서버의 서비스를 정지시킵니다. @@ -63,7 +63,7 @@ ## 상세 탭 -1. 관리 서버에 대한 상세정보를 조회하는 화면입니다. 해당 관리 서버의 수집 시간, 사용 서버가 로컬에 설치됨, DB가 로컬에서 실행, 관리서버의 마지막 시작 시간, 관리서버의 마지막 정지 시간, 관리서버 시스템의 부팅 시간, 버전, 로그 파일 정보, 모든 코어의 전체 CPU 용량(MHz), 1, 5, 15분 로드 평균, 사용자, 시스템 및 Idle 주기, 전체 시스템 메모리, 사용 가능한 시스템 메모리, 가상 전체 프로세스 크기, 사용 가능한 프로세서 코어, Java Runtime 배포, Java Runtime Version, OS 배포, Kernel Version, 연결된 에이전트 수, Active 클라이언트 세션, 사용 Heap-memory, 사용가능 Heap-memory, 차단된 스레드, 실행 가능한 스레드, 전체 스레드 수, 대기 중인 스레드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관리 서버에 대한 상세정보를 조회하는 화면입니다. 해당 관리 서버의 수집 시간, 사용 서버가 로컬에 설치됨, DB가 로컬에서 실행, 관리서버의 마지막 시작 시간, 관리서버의 마지막 정지 시간, 관리서버 시스템의 부팅 시간, 버전, 로그 파일 정보, 모든 코어의 전체 CPU 용량(MHz), 1-5-15분 로드 평균, 사용자, 시스템 및 Idle 주기, 전체 시스템 메모리, 사용 가능한 시스템 메모리, 가상 전체 프로세스 크기, 사용 가능한 프로세서 코어, Java Runtime 배포, Java Runtime Version, OS 배포, Kernel Version, 연결된 에이전트 수, Active 클라이언트 세션, 사용 Heap-memory, 사용가능 Heap-memory, 차단된 스레드, 실행 가능한 스레드, 전체 스레드 수, 대기 중인 스레드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management server 상세 탭](../../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management-server/management-server-detail-tab.png){ .imgCenter .imgBorder } @@ -105,6 +105,6 @@ ## 코멘트 탭 -1. 관리 서버에 관련된 코멘트 정보를 확인하는 화면입니다. 각 사용자별로 해당 가상 라우터에 대한 코멘트 정보를 조회 및 관리할 수 있는 화면입니다. +1. 관리 서버에 관련된 코멘트 정보를 확인하는 화면입니다. 각 사용자별로 해당 관리 서버에 대한 코멘트 정보를 조회 및 관리할 수 있는 화면입니다. ![관리 서버 코멘트 탭](../../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management-server/management-server-comments-tab.png){ .imgCenter .imgBorder } diff --git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nfrastructure-object-storage.md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nfrastructure-object-storage.md index 8b1baf72..54b4ed6a 100644 ---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nfrastructure-object-storage.md +++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nfrastructure-object-storage.md @@ -2,7 +2,7 @@ # Object 스토리지 ## 개요 -Object 스토리지는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를 저장하는 시스템으로, 주로 이미지, 비디오, 로그 파일 등을 관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데이터는 객체 단위로 저장되며 각 객체는 메타데이터와 고유 식별자를 가집니다. Object 스토리지는 높은 확장성과 고가용성을 제공하고, HTTP 기반의 REST API를 통해 데이터를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ABLESTACK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에서 대용량 파일 저장과 관리가 용이해집니다. +Object 스토리지는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를 저장하는 시스템으로, 주로 이미지, 비디오, 로그 파일 등을 관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데이터는 객체 단위로 저장되며 각 객체는 메타데이터와 고유 식별자를 가집니다. Object 스토리지는 높은 확장성과 고가용성을 제공하고, HTTP 기반의 REST API를 통해 데이터에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ABLESTACK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에서 대용량 파일 저장과 관리가 용이해집니다. ## 목록 조회 @@ -12,7 +12,7 @@ Object 스토리지는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를 저장하는 시스템 ## Object 스토리지 추가 -1. Object 스토리지 추가 버튼 클릭 하여 Object 스토리지 추가 팝업을 호출합니다. +1. Object 스토리지 추가 버튼을 클릭하여 Object 스토리지 추가 팝업을 호출합니다. ![object storage 추가 버튼](../../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object-storage/object-storage-add-btn.png){ .imgCenter .imgBorder } @@ -50,7 +50,7 @@ Object 스토리지는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를 저장하는 시스템 ![Object 스토리지 삭제 화면](../../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object-storage/object-storage-remove.png){ .imgCenter .imgBorder }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Pod를 삭제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Object 스토리지를 삭제합니다. ## 상세 탭 diff --git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nfrastructure-pods.md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nfrastructure-pods.md index befa9c20..65276b0d 100644 ---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nfrastructure-pods.md +++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nfrastructure-pods.md @@ -39,7 +39,7 @@ Pod는 물리적 리소스를 그룹화하는 논리적 단위로 ABLESTACK 클 ![Pod 편집 화면](../../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pods/pod-update.png){ .imgCenter .imgBorder } * 수정할 **항목** 을 입력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Pod 업데이트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Pod를 업데이트합니다. ## Pod 비활성화 @@ -51,7 +51,7 @@ Pod는 물리적 리소스를 그룹화하는 논리적 단위로 ABLESTACK 클 ![Pod 비활성화 화면](../../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pods/pod-disable.png){ .imgCenter .imgBorder }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Pod 비활성화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Pod를 비활성화합니다. ## Pod 활성화 @@ -63,7 +63,7 @@ Pod는 물리적 리소스를 그룹화하는 논리적 단위로 ABLESTACK 클 ![Pod 활성화 화면](../../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pods/pod-enable.png){ .imgCenter .imgBorder }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Pod 활성화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Pod를 활성화합니다. ## 롤링 유지 관리 시작 @@ -77,7 +77,7 @@ Pod는 물리적 리소스를 그룹화하는 논리적 단위로 ABLESTACK 클 * **시간초과:** 시간초과를 입력합니다. * **payload:** payload에 실행할 명령을 입력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롤링 유지 관리 시작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롤링 유지 관리를 시작합니다. ## Pod 삭제 @@ -99,7 +99,7 @@ Pod는 물리적 리소스를 그룹화하는 논리적 단위로 ABLESTACK 클 ## 리소스 탭 -1. Pod에 할당된 자원의 상태를 조회하는 화면입니다. 해당 Pod에서 할당량과 활당 가능량을 확인 가능하며 메모리, CPU, 기본 스토리지 사용량, 할당된 기본 스토리지, 관리 IP 주소, GPU, CPU 코어수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Pod에 할당된 자원의 상태를 조회하는 화면입니다. 해당 Pod에서 현재 할당량과 할당 가능량을 확인 가능하며 메모리, CPU, 기본 스토리지 사용량, 할당된 기본 스토리지, 관리 IP 주소, GPU, CPU 코어수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리소스 탭](../../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pods/pod-allocated-resource-tab.png){ .imgCenter .imgBorder } diff --git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nfrastructure-primary-storage.md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nfrastructure-primary-storage.md index 6ecbc773..33f45053 100644 ---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nfrastructure-primary-storage.md +++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nfrastructure-primary-storage.md @@ -2,7 +2,7 @@ # 기본 스토리지 ## 개요 -기본 스토리지(Primary Storage)는 가상머신의 ROOT disk(운영 체제), DATA disk(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기본 저장소입니다. 가상머신이 실행될 때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주로 빠른 데이터 접근이 필요한 SSD나 고속 스토리지를 사용하고 Glue Block, Glue FS, NFS, iSCSI와 같은 다양한 스토리지 기술을 지원합니다. 기본 스토리지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가상 머신의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핵심 자원입니다. +기본 스토리지(Primary Storage)는 가상머신의 ROOT disk(운영 체제), DATA disk(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기본 저장소입니다. 가상머신이 실행될 때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주로 빠른 데이터 접근이 필요한 SSD나 고속 스토리지를 사용하고 Glue Block, Glue FS, NFS, iSCSI와 같은 다양한 스토리지 기술을 지원합니다. 기본 스토리지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가상 머신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핵심 자원입니다. ## 목록 조회 @@ -12,18 +12,19 @@ ## 기본 스토리지 추가 -1. 기본 스토리지 추가 버튼 클릭 하여 기본 스토리지 추가 팝업을 호출합니다. +1. 기본 스토리지 추가 버튼을 클릭하여 기본 스토리지 추가 팝업을 호출합니다. ![primary storage 추가 버튼](../../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primary-storage/primary-storage-add-btn.png){ .imgCenter .imgBorder } 2. 기본 스토리지 추가를 위한 항목을 입력합니다. + !!! info - 아래 기본 스토리지 추가 화면 이미지에서는 nfs 추가 방식이며, 스토리지 유형에 따라 입력값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아래 기본 스토리지 추가 화면 이미지는 nfs 추가 방식이며, 스토리지 유형에 따라 입력값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primary storage 추가 화면](../../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primary-storage/primary-storage-add.png){ .imgCenter .imgBorder } * **범위:** 범위를 선택합니다. * **Zone:** Zone을 선택합니다. - * **Pod:** 을 선택합니다. + * **Pod:** Pod를 선택합니다. * **클러스터:** 클러스터를 선택합니다. * **이름:** 이름을 입력합니다. * **제공자:** 제공자를 선택합니다. @@ -76,7 +77,7 @@ !!! warning 기본스토리지 유지보수 모드를 실행할 경우 해당 스토리지를 사용하는 가상머신을 모두 정지시킵니다. 확인후 작업이 필요합니다. -1. 해당 기본 스토리지를 유지보수 모드 활성화화합니다. +1. 해당 기본 스토리지의 유지보수 모드를 활성화합니다. ![유지보수 모드 활성화 버튼](../../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primary-storage/primary-storage-maintenance-mode-enable-btn.png){ .imgCenter .imgBorder } @@ -84,11 +85,11 @@ ![유지보수 모드 활성화 화면](../../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primary-storage/primary-storage-maintenance-mode-enable.png){ .imgCenter .imgBorder }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기본 스토리지 비활성화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기본 스토리지를 비활성화합니다. ## 유지보수 모드 비활성화 -1. 해당 기본 스토리지를 유지보수 모드 비활성화합니다. +1. 해당 기본 스토리지의 유지보수 모드를 비활성화합니다. ![유지보수 모드 비활성화 버튼](../../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primary-storage/primary-storage-maintenance-mode-disable-btn.png){ .imgCenter .imgBorder } @@ -96,7 +97,7 @@ ![유지보수 모드 비활성화 화면](../../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primary-storage/primary-storage-maintenance-mode-disable.png){ .imgCenter .imgBorder }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유지보수 모드 비활성화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유지보수 모드를 비활성화합니다. ## 기본 스토리지 삭제 diff --git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nfrastructure-secondary-storage.md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nfrastructure-secondary-storage.md index dcae8540..5d2df1a7 100644 ---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nfrastructure-secondary-storage.md +++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nfrastructure-secondary-storage.md @@ -12,13 +12,14 @@ ## 2차 스토리지 추가 -1. 2차 스토리지 추가 버튼 클릭 하여 2차 스토리지 추가 팝업을 호출합니다. +1. 2차 스토리지 추가 버튼을 클릭하여 2차 스토리지 추가 팝업을 호출합니다. ![secondary storage 추가 버튼](../../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secondary-storage/secondary-storage-add-btn.png){ .imgCenter .imgBorder } 2. 2차 스토리지 추가를 위한 항목을 입력합니다. + !!! info - 아래 2차 스토리지 추가 화면 이미지에서는 nfs 추가 방식이며, 스토리지 유형에 따라 입력값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아래 2차 스토리지 추가 화면 이미지는 nfs 추가 방식이며, 스토리지 유형에 따라 입력값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secondary storage 추가 화면](../../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secondary-storage/secondary-storage-add.png){ .imgCenter .imgBorder } * **이름:** 이름을 입력합니다. @@ -51,7 +52,7 @@ ![2차 스토리지 삭제 화면](../../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secondary-storage/secondary-storage-remove.png){ .imgCenter .imgBorder }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Pod를 삭제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2차 스토리지를 삭제합니다. ## 상세 탭 @@ -71,11 +72,11 @@ ![설정 편집](../../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secondary-storage/secondary-storage-setting-update-btn.png){ .imgCenter .imgBorder } - * 설정 값을 수정후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해당 2차스토리지에 설정 값을 변경합니다. + * 설정 값을 수정후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해당 2차스토리지의 설정값을 변경합니다. ### 기본값으로 재설정 -1. 2차 스토리지의 설정 값을 초기값으로 재설정합니다. +1. 2차 스토리지의 설정값을 초기값으로 재설정합니다. ![기본값으로 재설정](../../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secondary-storage/secondary-storage-setting-reset-btn.png){ .imgCenter .imgBorder } diff --git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nfrastructure-system-vms.md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nfrastructure-system-vms.md index 90127dbc..8a08bde1 100644 ---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nfrastructure-system-vms.md +++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nfrastructure-system-vms.md @@ -2,7 +2,7 @@ # 시스템 VM ## 개요 -시스템 VM은 ABLESTACK 클라우드 환경의 관리 및 운영을 지원하는 가상 머신입니다. 주요 역할로는 가상머신에 원격 접속을 제공하는 Console Proxy VM, 템플릿 및 스냅샷을 관리하는 Secondary Storage VM이 있습니다.시스템 VM은 Zone이 활성화 되면 자동으로 생성되고, ABLESTACK 클라우드 인프라의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시스템 VM은 ABLESTACK 클라우드 환경의 관리 및 운영을 지원하는 가상 머신입니다. 주요 역할로는 가상머신에 원격 접속을 제공하는 Console Proxy VM, 템플릿 및 스냅샷을 관리하는 Secondary Storage VM이 있습니다. 시스템 VM은 Zone이 활성화 되면 자동으로 생성되고, ABLESTACK 클라우드 인프라의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목록 조회 @@ -24,7 +24,7 @@ ## 클립보드에 콘솔 URL 복사 -1. 시스템 VM의 콘솔에 접근할 수 있는 URL 복사할 수 있습니다. +1. 시스템 VM의 콘솔에 접근할 수 있는 URL을 복사할 수 있습니다. ![system vms 클립보드에 콘솔 URL 복사](../../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system-vms/system-vms-console-url-copy-btn.png){ .imgCenter .imgBorder } @@ -66,7 +66,7 @@ ## 시스템 VM 마이그레이션 -1. 시스템 VM 다른 호스트로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습니다. +1. 시스템 VM을 다른 호스트로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 VM 마이그레이션 버튼](../../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system-vms/system-vms-migrate-btn.png){ .imgCenter .imgBorder } @@ -79,7 +79,7 @@ ## 진단 실행 -1. 시스템 VM이 ping, traceroute, arping 등 진단 실행할 수 있습니다. +1. 시스템 VM이 ping, traceroute, arping 등 진단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진단 실행 버튼](../../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system-vms/run-diagnostics-btn.png){ .imgCenter .imgBorder } @@ -88,7 +88,7 @@ ![진단 실행 화면](../../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system-vms/run-diagnostics.png){ .imgCenter .imgBorder } * **호스트:** 호스트를 선택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진단 실행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진단을 실행합니다. ## 진단 가져오기 @@ -105,7 +105,7 @@ ## 시스템 VM 패치 -1. 시스템 VM 패치하여 버전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시스템 VM을 패치하여 버전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 VM 패치 버튼](../../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system-vms/patch-system-vm-btn.png){ .imgCenter .imgBorder } @@ -114,12 +114,12 @@ ![시스템 VM 패치 화면](../../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system-vms/patch-system-vm.png){ .imgCenter .imgBorder } * **호스트:** 를 선택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시스템 VM 패치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시스템 VM을 패치합니다. ## 시스템 VM 삭제 !!! info - 시스템 VM을 삭제하더라도 Zone이 활성화 되어있으면 다시 생성합니다. + 시스템 VM을 삭제하더라도 Zone이 활성화 되어있으면 다시 생성됩니다. 1. 해당 시스템 VM를 삭제합니다. diff --git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nfrastructure-virtual-routers.md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nfrastructure-virtual-routers.md index 84958495..0351f7da 100644 ---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nfrastructure-virtual-routers.md +++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nfrastructure-virtual-routers.md @@ -24,7 +24,7 @@ ## NIC 탭 -1. 가상 라우터에 연결된 네트워크를 조회하는 화면입니다. 해당 가상 라우터 NIC의 장치 ID, 네트워크 이름, MAC 주소, IP 주소, 넷마스트,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가상 라우터에 연결된 네트워크를 조회하는 화면입니다. 해당 가상 라우터 NIC의 장치 ID, 네트워크 이름, MAC 주소, IP 주소, 넷마스크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virtual routers 상세 탭](../../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virtual-routers/virtual-routers-nic-tab.png){ .imgCenter .imgBorder } @@ -36,7 +36,7 @@ ### Health check 결과 가져오기 -1. Health check 결과 가져오기 수행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1. Health check 결과 가져오기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Health check 결과 가져오기 버튼](../../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virtual-routers/health-checks-btn.png){ .imgCenter .imgBorder } @@ -44,7 +44,7 @@ ![Health check 결과 가져오기 화면](../../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virtual-routers/health-checks.png){ .imgCenter .imgBorder }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Health check 결과 가져오기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Health check 결과를 가져옵니다. ## 볼륨 탭 @@ -78,7 +78,7 @@ ## 클립보드에 콘솔 URL 복사 -1. 가상 라우터의 콘솔에 접근할 수 있는 URL 복사할 수 있습니다. +1. 가상 라우터의 콘솔에 접근할 수 있는 URL을 복사할 수 있습니다. ![virtual routers 클립보드에 콘솔 URL 복사](../../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virtual-routers/virtual-routers-console-url-copy-btn.png){ .imgCenter .imgBorder } @@ -120,7 +120,7 @@ ## 시스템 VM 패치 -1. 시스템 VM 패치하여 가상 라우터의 버전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시스템 VM을 패치하여 가상 라우터의 버전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 VM 패치 버튼](../../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virtual-routers/patch-virtual-routers-btn.png){ .imgCenter .imgBorder } @@ -128,8 +128,7 @@ ![시스템 VM 패치 화면](../../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virtual-routers/patch-virtual-routers.png){ .imgCenter .imgBorder } - * **호스트** 를 선택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시스템 VM 패치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시스템 VM을 패치합니다. ## 최신 템플릿을 사용하도록 라우터 업그레이드 @@ -137,7 +136,7 @@ ![최신 템플릿을 사용하도록 라우터 업그레이드 버튼](../../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virtual-routers/virtual-routers-upgrade-btn.png){ .imgCenter .imgBorder } - * **최신 템플릿을 사용하도록 라우터 업그레이드** 버튼을 클릭하여 최신 템플릿을 사용하도록 라우터 업그레이드 화면을 호출합니다. + * **최신 템플릿을 사용하도록 라우터 업그레이드** 버튼을 클릭하여 라우터 업그레이드 화면을 호출합니다. ![최신 템플릿을 사용하도록 라우터 업그레이드 화면](../../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virtual-routers/virtual-routers-upgrade.png){ .imgCenter .imgBorder } @@ -145,7 +144,7 @@ ## 가상 라우터 마이그레이션 -1. 가상 라우터 다른 호스트로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습니다. +1. 가상 라우터를 다른 호스트로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습니다. ![가상 라우터 마이그레이션 버튼](../../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virtual-routers/virtual-routers-migrate-btn.png){ .imgCenter .imgBorder } @@ -158,7 +157,7 @@ ## 진단 실행 -1. 가상 라우터이 ping, traceroute, arping 등 진단 실행할 수 있습니다. +1. 가상 라우터에서 ping, traceroute, arping 등 진단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진단 실행 버튼](../../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virtual-routers/run-diagnostics-btn.png){ .imgCenter .imgBorder } @@ -166,8 +165,7 @@ ![진단 실행 화면](../../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virtual-routers/run-diagnostics.png){ .imgCenter .imgBorder } - * **호스트** 를 선택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진단 실행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진단을 실행합니다. ## 진단 가져오기 @@ -179,13 +177,12 @@ ![진단 가져오기 화면](../../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virtual-routers/get-diagnostics-data.png){ .imgCenter .imgBorder } - * **호스트** 를 선택합니다.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진단 가져오기를 수행합니다. ## 가상 라우터 삭제 !!! info - 가상 라우터를 삭제하더라도 Zone이 활성화 되어있으면 다시 생성합니다. + 가상 라우터를 삭제하더라도 해당 네트워크가 활성화 되어있으면 다시 생성됩니다. 1. 해당 가상 라우터를 삭제합니다. diff --git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nfrastructure-zones.md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nfrastructure-zones.md index f67d970e..09f5d258 100644 ---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nfrastructure-zones.md +++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infrastructure-zones.md @@ -12,14 +12,14 @@ Zone은 ABLESTACK 인프라의 자원을 관리하고 배치하는 기본 단위 ## Zone추가 -1. Zone 추가 버튼 클릭 하여 Zone 추가 팝업을 호출합니다. +1. Zone 추가 버튼을 클릭 하여 Zone 추가 팝업을 호출합니다. ![zone 추가 버튼](../../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zones/zone-add-btn.png){ .imgCenter .imgBorder } 2. Zone 구성을 위한 항목을 입력합니다. !!! info - Zone 구성시 네트워크, 스토리지, 호스트 등 실제 구축하는 사이트 환경에 맞는 값을 입력해야합니다. + 다음은 예시입니다. Zone 구성시 네트워크, 스토리지, 호스트 등 실제 구축하는 사이트 환경에 맞는 값을 입력해야합니다. ![zone 추가1](../../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zones/zone-add1.png){ .imgCenter .imgBorder } @@ -44,7 +44,7 @@ Zone은 ABLESTACK 인프라의 자원을 관리하고 배치하는 기본 단위 ![zone 추가4](../../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zones/zone-add4.png){ .imgCenter .imgBorder } * Zone 의 네트워크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입니다. - * **트래픽 유형** 의 **MANAGEMENT, GUEST, PUBLIC** 각각 편집 버튼을 클릭하여 트랙픽 라벨을 입력합니다. + * **트래픽 유형** 의 **MANAGEMENT, GUEST, PUBLIC** 각각 편집 버튼을 클릭하여 트래픽 라벨을 입력합니다. ![zone 추가5](../../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zones/zone-add5.png){ .imgCenter .imgBorder } @@ -251,7 +251,7 @@ Zone은 ABLESTACK 인프라의 자원을 관리하고 배치하는 기본 단위 ## Zone 삭제 !!! warning - Zone을 삭제하기 위해서는 이하 pod, cluster, 호스트, 기본스토리지, 2차스토리지가 존재하지 않아야 합니다. + Zone을 삭제하기 위해서는 pod, cluster, 호스트, 기본스토리지, 2차스토리지를 먼저 삭제해야 합니다. 1. 해당 Zone을 삭제합니다. @@ -353,7 +353,7 @@ Zone은 ABLESTACK 인프라의 자원을 관리하고 배치하는 기본 단위 ![보기 IPv4 서브넷 버튼](../../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zones/ipv4-subnet-view.png){ .imgCenter .imgBorder } - * 선택한 서브넷을 사용중 네트워크를 확인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 IPv4 서브넷** 메뉴로 이동합니다. + * 선택한 서브넷을 사용중인 네트워크를 확인하기 위해 **네트워크 > IPv4 서브넷** 메뉴로 이동합니다. ### 계정 추가 @@ -452,7 +452,7 @@ Zone은 ABLESTACK 인프라의 자원을 관리하고 배치하는 기본 단위 ![보기 네트워크](../../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zones/bgp-peer-view.png){ .imgCenter .imgBorder } - * 선택한 BGP 피어가 사용중 네트워크를 확인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 가상머신용 네트워크** 메뉴로 이동합니다. + * 선택한 BGP 피어가 사용중인 네트워크를 확인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 가상머신용 네트워크** 메뉴로 이동합니다. ### 계정 추가 @@ -506,7 +506,7 @@ Zone은 ABLESTACK 인프라의 자원을 관리하고 배치하는 기본 단위 ## 리소스 탭 -1. Zone에 할당된 자원의 상태를 조회하는 화면입니다. 해당 Zone에서 할당량과 활당 가능량을 확인 가능하며 메모리, CPU, 기본 스토리지 사용량, 할당된 기본 스토리지, Public 주소, 관리 IP 주소, 2차 스토리지, VLAN/VNI, 직접 IP 주소, GPU, CPU 코어수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Zone에 할당된 자원의 상태를 조회하는 화면입니다. 해당 Zone에서 현재 할당량과 할당 가능량을 확인 가능하며 메모리, CPU, 기본 스토리지 사용량, 할당된 기본 스토리지, Public 주소, 관리 IP 주소, 2차 스토리지, VLAN/VNI, 직접 IP 주소, GPU, CPU 코어수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리소스 탭](../../assets/images/admin-guide/mold/infrastructure/zones/allocated-resource-tab.png){ .imgCenter .imgBorder } diff --git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network-vpn-customer-gateway.md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network-vpn-customer-gateway.md index 73c76911..820e4c3a 100644 ---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network-vpn-customer-gateway.md +++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network-vpn-customer-gateway.md @@ -2,7 +2,7 @@ # VPN 고객 게이트웨이 ## 개요 - VPN 고객 게이트웨이는 외부 네트워크와 ABLESTACk 클라우드 인프라 간의 안전한 연결을 위한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ABLESTACK 클라우드 가상머신이 사용자의 온프레미스 네트워크와 보안된 VPN 터널을 통해 연결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VPN 고객 게이트웨이는 ABLESTACk 클라우드와 외부 네트워크 간의 IPsec VPN 연결을 설정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연결은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보호하여 인터넷을 통해 안전하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합니다. + VPN 고객 게이트웨이는 외부 네트워크와 ABLESTACK 클라우드 인프라 간의 안전한 연결을 위한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ABLESTACK 클라우드 가상머신이 사용자의 온프레미스 네트워크와 보안된 VPN 터널을 통해 연결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VPN 고객 게이트웨이는 ABLESTACk 클라우드와 외부 네트워크 간의 IPsec VPN 연결을 설정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연결은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보호하여 인터넷을 통해 안전하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합니다. ## 목록 조회 diff --git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projects.md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projects.md index 3789f909..d22733c1 100644 ---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projects.md +++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projects.md @@ -47,7 +47,7 @@ ![프로젝트 일시정지 화면](../../assets/images/admin-guide/mold/projects/project-disable.png){ .imgCenter .imgBorder }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프로젝트 일시정지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프로젝트를 일시정지합니다. ## 프로젝트 활성화 @@ -59,7 +59,7 @@ ![프로젝트 활성화 화면](../../assets/images/admin-guide/mold/projects/project-enable.png){ .imgCenter .imgBorder }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프로젝트 활성화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프로젝트를 활성화합니다. ## 프로젝트에 계정 추가 diff --git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roles.md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roles.md index b6b5d4e0..a69033e9 100644 ---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roles.md +++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roles.md @@ -25,7 +25,7 @@ * **설명:** 설명을 입력합니다. * **기반:** 기반을 선택합니다. * **유형:** 유형을 선택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역할를 추가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역할을 추가합니다. ## 역할 가져오기 @@ -37,11 +37,11 @@ ![역할 가져오기 화면](../../assets/images/admin-guide/mold/roles/roles-import.png){ .imgCenter .imgBorder } - * **규칙 파일:** 규칙 파일을 업로드합니다. + * **규칙 파일:** 규칙 파일(CSV)을 업로드합니다. * **이름:** 이름을 입력합니다. * **설명:** 설명을 입력합니다. * **유형:** 유형을 선택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역할를 CSV르 import 하여 추가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역할을 추가합니다. ## 역할 비활성화 @@ -66,7 +66,7 @@ ![역할 활성화 화면](../../assets/images/admin-guide/mold/roles/roles-enable.png){ .imgCenter .imgBorder }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역할 활성화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역할을 활성화합니다. ## 역할 편집 @@ -79,7 +79,7 @@ ![역할 편집 화면](../../assets/images/admin-guide/mold/roles/roles-update.png){ .imgCenter .imgBorder } * 수정할 **항목** 을 입력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역할를 업데이트합니다. +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역할을 업데이트합니다. ## 역할 삭제 @@ -129,7 +129,7 @@ ![규칙 삭제 버튼](../../assets/images/admin-guide/mold/roles/roles-delete-btn.png){ .imgCenter .imgBorder } - * **규칙 삭제** 버튼을 클릭하여 규칙 삭제합니다. + * **규칙 삭제** 버튼을 클릭하여 규칙을 삭제합니다. ## 이벤트 탭 diff --git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storage-volume.md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storage-volume.md index dbea2ccc..d80af79b 100644 --- a/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storage-volume.md +++ b/docs/admin-guide/mold/mold-admin-guide-storage-volume.md @@ -2,7 +2,7 @@ # 볼륨 ## 개요 -볼륨은 게스트 인스턴스에서 스토리지를 제공하는 중요한 요소로, 운영 체제가 설치되는 루트 디스크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데이터 디스크로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볼륨은 게스트 인스턴스에 스토리지를 제공하는 중요한 요소로, 운영 체제가 설치되는 루트 디스크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데이터 디스크로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ABLESTACK은 이러한 추가 볼륨을 지원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유연하게 스토리지를 확장할 수 있도록 합니다. diff --git a/docs/assets/images/admin-guide/cube/outline/hardware-info-view.png b/docs/assets/images/admin-guide/cube/outline/hardware-info-view.png index 4ff2a363..316788f1 100644 Binary files a/docs/assets/images/admin-guide/cube/outline/hardware-info-view.png and b/docs/assets/images/admin-guide/cube/outline/hardware-info-view.png diff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