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ommit e507c3b

Browse files
committed
피드백에 따른 HTTP 추가
1 parent e29fdda commit e507c3b

File tree

4 files changed

+135
-1
lines changed

4 files changed

+135
-1
lines changed

README.md

+1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4,6 +14,7 @@ C# Dotnet으로 배우는 백엔드 기초
1414
- [Web개발의 이해](./day1/content/01_Web_개발의_이해.md)
1515
- [웹 서버,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클라이언트 구조와 상호작용](./day1/content/01_01_Web_구조와_상호작용.md)
1616
- [URI와 URL의 이해](./day1/content/01_02_URI_URL.md)
17+
- [HTTP의 이해](./day1/content/01_03_HTTP.md)
1718
- [Backend 소개](./day1/content/02_Backend_소개.md)
1819
- [Backend Framework](./day1/content/02_01_Backend_framework.md)
1920
- [Database](./day1/content/02_02_database.md)

day1/README.md

+1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0,6 +10,7 @@
1010
- [Web개발의 이해](./content/01_Web_개발의_이해.md)
1111
- [웹 서버,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클라이언트 구조와 상호작용](./content/01_01_Web_구조와_상호작용.md)
1212
- [URI와 URL의 이해](./content/01_02_URI_URL.md)
13+
- [HTTP의 이해](./content/01_03_HTTP.md)
1314
- [Backend 소개](./content/02_Backend_소개.md)
1415
- [Backend Framework](./content/02_01_Backend_framework.md)
1516
- [Database](./content/02_02_database.md)

day1/content/01_02_URI_URL.md

+1-1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14,5 +114,5 @@ URI와 URL은 웹 상의 자원을 식별하고 접근하는 데 필수적인
114114
- [W3C - URI/URL/URN 공식 문서](https://www.w3.org/Addressing/URL/uri-spec.html)
115115

116116
---
117-
## [다음](./02_Backend_소개.md)
117+
## [다음](./01_03_HTTP.md)
118118

day1/content/01_03_HTTP.md

+132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0,0 +1,132 @@
1+
# HTTP의 원리와 메소드, 응답, 응답코드
2+
3+
# 목차
4+
- [HTTP의 원리와 메소드, 응답, 응답코드](#http의-원리와-메소드-응답-응답코드)
5+
- [목차](#목차)
6+
- [1. HTTP란?](#1-http란)
7+
- [2. HTTP 요청(Request)](#2-http-요청request)
8+
- [요청 메소드](#요청-메소드)
9+
- [3. HTTP 응답(Response)](#3-http-응답response)
10+
- [4. HTTP 상태 코드(Status Code)](#4-http-상태-코드status-code)
11+
- [1xx (정보)](#1xx-정보)
12+
- [2xx (성공)](#2xx-성공)
13+
- [3xx (리다이렉션)](#3xx-리다이렉션)
14+
- [4xx (클라이언트 오류)](#4xx-클라이언트-오류)
15+
- [5xx (서버 오류)](#5xx-서버-오류)
16+
- [5. HTTP 헤더(Header)](#5-http-헤더header)
17+
- [요청 헤더](#요청-헤더)
18+
- [응답 헤더](#응답-헤더)
19+
- [6. HTTP의 작동 원리](#6-http의-작동-원리)
20+
- [7. 예시](#7-예시)
21+
- [HTTP 요청 예시 (GET)](#http-요청-예시-get)
22+
- [HTTP 응답 예시 (200 OK)](#http-응답-예시-200-ok)
23+
- [8. 결론](#8-결론)
24+
- [다음](#다음)
25+
26+
27+
## 1. HTTP란?
28+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기반으로 하며, 요청(Request)과 응답(Response)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9+
30+
## 2. HTTP 요청(Request)
31+
HTTP 요청은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보내는 메시지입니다.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32+
- **요청 라인(Request Line)**: 요청 메소드, 요청 URL, HTTP 버전으로 구성됩니다.
33+
- **헤더(Header)**: 요청에 대한 메타데이터(정보)를 포함합니다.
34+
- **본문(Body)**: 선택적으로 포함되며, 주로 POST나 PUT 메소드에서 사용됩니다.
35+
36+
### 요청 메소드
37+
HTTP 요청 메소드는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어떤 작업을 수행할지 지시합니다. 주요 메소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38+
- **GET**: 서버로부터 리소스를 조회합니다.
39+
- **POST**: 서버에 데이터를 전송하여 새로운 리소스를 생성합니다.
40+
- **PUT**: 서버에 데이터를 전송하여 기존 리소스를 수정합니다.
41+
- **DELETE**: 서버에서 리소스를 삭제합니다.
42+
- **HEAD**: GET과 유사하지만, 응답 본문을 제외한 헤더만 받습니다.
43+
- **OPTIONS**: 서버가 지원하는 HTTP 메소드를 반환합니다.
44+
- **PATCH**: 리소스의 부분적인 수정을 요청합니다.
45+
46+
## 3. HTTP 응답(Response)
47+
HTTP 응답은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보내는 메시지입니다.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48+
- **상태 라인(Status Line)**: HTTP 버전, 상태 코드, 상태 메시지로 구성됩니다.
49+
- **헤더(Header)**: 응답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합니다.
50+
- **본문(Body)**: 요청된 리소스의 데이터를 포함합니다.
51+
52+
## 4. HTTP 상태 코드(Status Code)
53+
HTTP 상태 코드는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었는지, 오류가 발생했는지 등을 나타냅니다. 주요 상태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54+
55+
### 1xx (정보)
56+
- **100 Continue**: 요청의 첫 번째 부분이 수신되어 클라이언트가 나머지 요청을 계속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57+
58+
### 2xx (성공)
59+
- **200 OK**: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었음을 나타냅니다.
60+
- **201 Created**: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었으며, 새로운 리소스가 생성되었음을 나타냅니다.
61+
- **204 No Content**: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었으나, 응답 본문이 없음을 나타냅니다.
62+
63+
### 3xx (리다이렉션)
64+
- **301 Moved Permanently**: 요청한 리소스가 영구적으로 새로운 URI로 이동했음을 나타냅니다.
65+
- **302 Found**: 요청한 리소스가 일시적으로 다른 URI에 있음을 나타냅니다.
66+
- **304 Not Modified**: 클라이언트의 캐시된 리소스가 여전히 최신 상태임을 나타냅니다.
67+
68+
### 4xx (클라이언트 오류)
69+
- **400 Bad Request**: 잘못된 요청 문법으로 인해 서버가 요청을 이해할 수 없음을 나타냅니다.
70+
- **401 Unauthorized**: 인증이 필요함을 나타냅니다.
71+
- **403 Forbidden**: 서버가 요청을 이해했지만, 권한이 없어 거부되었음을 나타냅니다.
72+
- **404 Not Found**: 요청한 리소스를 찾을 수 없음을 나타냅니다.
73+
74+
### 5xx (서버 오류)
75+
- **500 Internal Server Error**: 서버에서 요청을 처리하는 동안 오류가 발생했음을 나타냅니다.
76+
- **502 Bad Gateway**: 게이트웨이 또는 프록시 서버가 잘못된 응답을 수신했음을 나타냅니다.
77+
- **503 Service Unavailable**: 서버가 일시적으로 과부하 또는 유지보수로 인해 요청을 처리할 수 없음을 나타냅니다.
78+
79+
## 5. HTTP 헤더(Header)
80+
HTTP 헤더는 요청 또는 응답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합니다. 주요 헤더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81+
82+
### 요청 헤더
83+
- **Host**: 요청하는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과 포트 번호를 지정합니다.
84+
- **User-Agent**: 요청을 보낸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85+
- **Accept**: 클라이언트가 이해할 수 있는 콘텐츠 타입을 지정합니다.
86+
- **Authorization**: 인증 토큰을 포함하여 서버에 클라이언트의 자격 증명을 제공합니다.
87+
88+
### 응답 헤더
89+
- **Content-Type**: 응답 본문의 콘텐츠 타입을 지정합니다.
90+
- **Content-Length**: 응답 본문의 길이를 바이트 단위로 지정합니다.
91+
- **Set-Cookie**: 서버가 클라이언트에 쿠키를 설정하는 데 사용합니다.
92+
- **Cache-Control**: 클라이언트가 응답을 캐시하는 방법을 지정합니다.
93+
94+
## 6. HTTP의 작동 원리
95+
1.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보냅니다**: 웹 브라우저와 같은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HTTP 요청을 보냅니다.
96+
2. **서버가 요청을 처리합니다**: 웹 서버는 요청을 수신하고 처리합니다.
97+
3. **서버가 응답을 보냅니다**: 서버는 요청에 대한 HTTP 응답을 클라이언트에 보냅니다.
98+
4. **클라이언트가 응답을 처리합니다**: 클라이언트는 응답을 수신하고, 필요한 경우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표시합니다.
99+
100+
## 7. 예시
101+
102+
### HTTP 요청 예시 (GET)
103+
```http
104+
GET /index.html HTTP/1.1
105+
Host: www.example.com
106+
User-Agent: Mozilla/5.0 (Windows NT 10.0; Win64; x64)
107+
Accept: text/html
108+
```
109+
110+
### HTTP 응답 예시 (200 OK)
111+
```http
112+
HTTP/1.1 200 OK
113+
Content-Type: text/html
114+
Content-Length: 138
115+
116+
<!DOCTYPE html>
117+
<html>
118+
<head>
119+
<title>Example</title>
120+
</head>
121+
<body>
122+
<h1>Hello, World!</h1>
123+
</body>
124+
</html>
125+
```
126+
127+
## 8. 결론
128+
HTTP는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중요한 프로토콜입니다. 다양한 메소드와 상태 코드를 통해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HTTP의 원리와 메커니즘을 이해하면 웹 개발 및 네트워크 문제 해결에 큰 도움이 됩니다.
129+
130+
---
131+
## [다음](./02_Backend_소개.md)
132+

0 commit comments

Comments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