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2,7 +122,7 @@ ls | update name {str upcase}
122122
123123### ` $in ` 은 언제 변경됩니까(그리고 언제 재사용할 수 있습니까)?
124124
125- - ** _ 규칙 1: _ ** 클로저 또는 블록의 파이프라인의 첫 번째 위치에서 사용될 때 ` $in ` 은 클로저/블록에 대한 파이프라인(또는 필터) 입력을 나타냅니다.
125+ - ** 규칙1: ** 클로저 또는 블록의 파이프라인의 첫 번째 위치에서 사용될 때 ` $in ` 은 클로저/블록에 대한 파이프라인(또는 필터) 입력을 나타냅니다.
126126
127127 예시:
128128
@@ -134,7 +134,7 @@ ls | update name {str upcase}
134134 # => true
135135 ```
136136
137- - ** _ 규칙 1 .5:_ ** 이것은 현재 범위 전체에서 사실입니다. 클로저 또는 블록의 후속 줄에서도 해당 범위 내의 _ 모든 파이프라인_의 첫 번째 위치에서 사용될 때 ` $in ` 은 동일한 값입니다.
137+ - ** 규칙1 .5:** 이것은 현재 범위 전체에서 사실입니다. 클로저 또는 블록의 후속 줄에서도 해당 범위 내의 _ 모든 파이프라인_의 첫 번째 위치에서 사용될 때 ` $in ` 은 동일한 값입니다.
138138
139139 예시:
140140
@@ -162,7 +162,7 @@ ls | update name {str upcase}
162162 ╰───┴───╯
163163 ```
164164
165- - ** _ 규칙 2: _ ** 파이프라인의 다른 곳(첫 번째 위치 제외)에서 사용될 때 ` $in ` 은 이전 표현식의 결과를 나타냅니다.
165+ - ** 규칙2: ** 파이프라인의 다른 곳(첫 번째 위치 제외)에서 사용될 때 ` $in ` 은 이전 표현식의 결과를 나타냅니다.
166166
167167 예시:
168168
@@ -174,7 +174,7 @@ ls | update name {str upcase}
174174 # => 8
175175 ```
176176
177- - ** _ 규칙 2 .5:_ ** 클로저 또는 블록 내에서 규칙 2 사용은 해당 "새로운" ` $in ` 값이 유효한 새 범위(하위 표현식) 내에서 발생합니다. 즉, 규칙 1과 규칙 2 사용은 동일한 클로저 또는 블록 내에서 공존할 수 있습니다.
177+ - ** 규칙2 .5:** 클로저 또는 블록 내에서 규칙 2 사용은 해당 "새로운" ` $in ` 값이 유효한 새 범위(하위 표현식) 내에서 발생합니다. 즉, 규칙 1과 규칙 2 사용은 동일한 클로저 또는 블록 내에서 공존할 수 있습니다.
178178
179179 예시:
180180
@@ -217,7 +217,7 @@ ls | update name {str upcase}
217217 8
218218 ```
219219
220- - ** _ 규칙 3:_ ** 입력 없이 사용될 때 ` $in ` 은 null입니다.
220+ - ** 규칙 3:** 입력 없이 사용될 때 ` $in ` 은 null입니다.
221221
222222 예시:
223223
@@ -235,7 +235,7 @@ ls | update name {str upcase}
235235 # => nothing
236236 ```
237237
238- * ** _ 규칙 4:_ ** 세미콜론으로 구분된 여러 문장으로 구성된 줄에서 ` $in ` 은 이전 _ 문_의 결과를 캡처하는 데 사용할 수 없습니다.
238+ * ** 규칙 4:** 세미콜론으로 구분된 여러 문장으로 구성된 줄에서 ` $in ` 은 이전의 결과를 캡처하는 데 사용할 수 없습니다.
239239
240240 이것은 입력이 없는 것과 같습니다.
241241
0 commi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