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lies: 3 comments 2 replies
-
|
나머지 파라미터나 arguments 객체를 적극적으로 사용해봐야겠어요.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 함수의 매개변수를 여러개 전달하는 경우 객체로 전달하면 편리하다고 이해하였는데요 아래 두가지 방법중 어떤 방법이 더 좋은 방법인지 궁금합니다 방법 1매개변수가 2개 이하일 경우에는 인자를 따로 따로 전달한다 function createMenu(title, body) {
// ...
}3개 이상일 경우에는 객체로 넘겨준다 function createMenu({ title, body, buttonText, cancellable }) {
// ...
}방법 2일관성있게 매개변수의 갯수와 상관없이 항상 객체를 전달한다 function createMenu({ title, body, buttonText, cancellable }) {
// ...
}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
섹션 4에 대한 전반적인 느낀점을 따로 남기는 것보다 비슷한거 같아서 이곳에 남겨두겠습니다! 다만, '경계 다루기'라는 강의의 이름이 조금 애매하게 느껴집니다. 처음에 섹션 주제와 각 목차를 봤을 때 어떤 강의가 진행이 될지에 대해서 의문이 있었고, 강의를 듣다보니 '함수명 또는 변수명, 파라미터를 잘 쓰자'로 내용이 정리가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3-15의 경우 "min, max의 값을 상수화를 하고 경계값의 유무에 따른 판단을 팀별로 잘 컨벤션을 맞추고 이것 또한 상수화 네이밍에 표현해주면 좋다"로 이해를 했고, 3-16도 함수명을 잘 지어야한다가 제가 강의를 듣고나서 느낀점입니다. 3-18의 마지막으로 3-19도 매개변수의 가독성을 높이는 방법이 주제가 되는 것 같아서 포코께서 '경계'라고 강의의 주제를 잡으신 의도를 듣고싶습니다!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Uh oh!
There was an error while loading. Please reload this page.
-
섹션 4 - 19. 매개변수의 순서가 경계다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All rea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