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gle Activity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이다. 액티비티를 기준으로 추적하는 화면 전환 이벤트 기능을 끄고 수동으로만 추적할 순 없을까?
링크 클릭 시 특정 화면으로 이동하거나, Android에서는 플레이 스토어로, iOS에서는 앱 스토어로 이동 시키는 요구사항이 종종 등장한다. Android 및 iOS에서는 이를 충족시키는 여러 종류의 링크를 구현할 수 있다. 링크 종류에 대해 명확히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은 소통 및 사용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
Android에서 Deep link, Web link, App link 의 기본 개념과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박상권님 블로그] Uri scheme 방식 및 link 가 변화해 온 과정.
레이아웃을 표현하는 Composable (Text, Column, ...) 함수는 결국 LayoutNode로 표현된다. 그렇다면 이 Layout은 내부적으로 어떻게 동작할까? 나는 이 글을 이해했다는 가장 확실한 증거는 커스텀 레이아웃 즉, MeasurePolicy를 구현해보는 것이라 생각한다.
[엄재웅님 블로그]
팀원으로부터 이 컴포저블은 이미 Stable한 것이 아닌가? 하는 질문을 받았다. LayoutInflator를 확인하는 것 말고도 이것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 이 글에서는 안정성을 체크하고 수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불변 리스트를 다루는가? 아니면 가변 리스트를 다루는가? 상황에 따라 적절한 상태를 사용해야 한다.
이용 약관 동의를 어떻게 배치할 것인가에 대해 고민을 담은 글이다. 체크 박스, 필수 항목 표기법에 따른 사용자가 느끼는 UX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모바일 화면에서 input이 많아지면 키보드에 의해 콘텐츠가 가려지게 된다. 한 화면에서 하나의 TextField를 두는 게 최선일까? 이에 대한 토스의 해결 과정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