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Files

Latest commit

e507c3b · Jul 13, 2024

History

History
132 lines (109 loc) · 6.83 KB

01_03_HTTP.md

File metadata and controls

132 lines (109 loc) · 6.83 KB

HTTP의 원리와 메소드, 응답, 응답코드

목차

1. HTTP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기반으로 하며, 요청(Request)과 응답(Response)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 HTTP 요청(Request)

HTTP 요청은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보내는 메시지입니다.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요청 라인(Request Line): 요청 메소드, 요청 URL, HTTP 버전으로 구성됩니다.
  • 헤더(Header): 요청에 대한 메타데이터(정보)를 포함합니다.
  • 본문(Body): 선택적으로 포함되며, 주로 POST나 PUT 메소드에서 사용됩니다.

요청 메소드

HTTP 요청 메소드는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어떤 작업을 수행할지 지시합니다. 주요 메소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 GET: 서버로부터 리소스를 조회합니다.
  • POST: 서버에 데이터를 전송하여 새로운 리소스를 생성합니다.
  • PUT: 서버에 데이터를 전송하여 기존 리소스를 수정합니다.
  • DELETE: 서버에서 리소스를 삭제합니다.
  • HEAD: GET과 유사하지만, 응답 본문을 제외한 헤더만 받습니다.
  • OPTIONS: 서버가 지원하는 HTTP 메소드를 반환합니다.
  • PATCH: 리소스의 부분적인 수정을 요청합니다.

3. HTTP 응답(Response)

HTTP 응답은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보내는 메시지입니다.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상태 라인(Status Line): HTTP 버전, 상태 코드, 상태 메시지로 구성됩니다.
  • 헤더(Header): 응답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합니다.
  • 본문(Body): 요청된 리소스의 데이터를 포함합니다.

4. HTTP 상태 코드(Status Code)

HTTP 상태 코드는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었는지, 오류가 발생했는지 등을 나타냅니다. 주요 상태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1xx (정보)

  • 100 Continue: 요청의 첫 번째 부분이 수신되어 클라이언트가 나머지 요청을 계속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2xx (성공)

  • 200 OK: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었음을 나타냅니다.
  • 201 Created: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었으며, 새로운 리소스가 생성되었음을 나타냅니다.
  • 204 No Content: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었으나, 응답 본문이 없음을 나타냅니다.

3xx (리다이렉션)

  • 301 Moved Permanently: 요청한 리소스가 영구적으로 새로운 URI로 이동했음을 나타냅니다.
  • 302 Found: 요청한 리소스가 일시적으로 다른 URI에 있음을 나타냅니다.
  • 304 Not Modified: 클라이언트의 캐시된 리소스가 여전히 최신 상태임을 나타냅니다.

4xx (클라이언트 오류)

  • 400 Bad Request: 잘못된 요청 문법으로 인해 서버가 요청을 이해할 수 없음을 나타냅니다.
  • 401 Unauthorized: 인증이 필요함을 나타냅니다.
  • 403 Forbidden: 서버가 요청을 이해했지만, 권한이 없어 거부되었음을 나타냅니다.
  • 404 Not Found: 요청한 리소스를 찾을 수 없음을 나타냅니다.

5xx (서버 오류)

  • 500 Internal Server Error: 서버에서 요청을 처리하는 동안 오류가 발생했음을 나타냅니다.
  • 502 Bad Gateway: 게이트웨이 또는 프록시 서버가 잘못된 응답을 수신했음을 나타냅니다.
  • 503 Service Unavailable: 서버가 일시적으로 과부하 또는 유지보수로 인해 요청을 처리할 수 없음을 나타냅니다.

5. HTTP 헤더(Header)

HTTP 헤더는 요청 또는 응답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합니다. 주요 헤더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요청 헤더

  • Host: 요청하는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과 포트 번호를 지정합니다.
  • User-Agent: 요청을 보낸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 Accept: 클라이언트가 이해할 수 있는 콘텐츠 타입을 지정합니다.
  • Authorization: 인증 토큰을 포함하여 서버에 클라이언트의 자격 증명을 제공합니다.

응답 헤더

  • Content-Type: 응답 본문의 콘텐츠 타입을 지정합니다.
  • Content-Length: 응답 본문의 길이를 바이트 단위로 지정합니다.
  • Set-Cookie: 서버가 클라이언트에 쿠키를 설정하는 데 사용합니다.
  • Cache-Control: 클라이언트가 응답을 캐시하는 방법을 지정합니다.

6. HTTP의 작동 원리

  1.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보냅니다: 웹 브라우저와 같은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HTTP 요청을 보냅니다.
  2. 서버가 요청을 처리합니다: 웹 서버는 요청을 수신하고 처리합니다.
  3. 서버가 응답을 보냅니다: 서버는 요청에 대한 HTTP 응답을 클라이언트에 보냅니다.
  4. 클라이언트가 응답을 처리합니다: 클라이언트는 응답을 수신하고, 필요한 경우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표시합니다.

7. 예시

HTTP 요청 예시 (GET)

GET /index.html HTTP/1.1
Host: www.example.com
User-Agent: Mozilla/5.0 (Windows NT 10.0; Win64; x64)
Accept: text/html

HTTP 응답 예시 (200 OK)

HTTP/1.1 200 OK
Content-Type: text/html
Content-Length: 138

<!DOCTYPE html>
<html>
<head>
    <title>Example</title>
</head>
<body>
    <h1>Hello, World!</h1>
</body>
</html>

8. 결론

HTTP는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중요한 프로토콜입니다. 다양한 메소드와 상태 코드를 통해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HTTP의 원리와 메커니즘을 이해하면 웹 개발 및 네트워크 문제 해결에 큰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