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tifications
You must be signed in to change notification settings - Fork 4
오픈소스SW개론 5월 11일 회의록
참여자: 김준혁, 문희호, 이상협, 정지혜(공결)
git 에 대한 기능 숙지가 대부분 안되어 있을 뿐더러 실전 작업을 들어가기에는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각자 git 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branch에 대한 개념, commit 및 push, pull 에 대한 연습이 필요하였다. git 활용 능력과 함께 문제가 되었던 것들은 바로 pull request와 RotaruDan/SolarSystem에서 fork하여 자동적으로 생성된 Repository를 팀의 공식 Repository 로 정해야 하는 것인가 아니면 따로 Repository를 만들어야 하는 것인가에 관한 내용이었다. 이러한 부분이 매우 명확하지 않아서 직접 교수님에게 물어보기로 하였다. 교수님의 답변과 함께 내린 결론을 내렸다. 모든 팀원의 동의하에 새로운 Repository를 만들어 그곳에서 공식적인 작업을 실시하고, 해당 Repository를 결과물로 제출하기로 하였다. 또한 push와 pull, 그리고 git 활용 연습을 위해 공식 Repository 인 OSS12를 제외한 기존에 있던 나머지 두 개의 Repository (OpenSourceSolarSystem, TestOSS12)를 사용하여 pull 과 push를 연습하기로 하였다.
사실 공식 Repository는 3월 22일에 개설된 OpenSourceSolarSystem Repository 이었지만, RotaruDan/SolarSystem에서 fork 한 후 clone 한 프로젝트를 다시 Push를 하는 작업에서 상당한 오류가 많이 발생하여서 매우 복잡한 구조와 상당히 큰 용량의 프로젝트 까지 모두 push 되었다. 이러한 일이 발생하여 다른 팀원들이 다시 clone 할 때 작업이 상당히 어렵게 되어버렸다.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기 위하여 여러 시도를 해보았지만, 새로운 Repository를 개설하여 그 곳에 다시 정상적으로 push 하는 것이 더 낫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로 인해 OSS12 Repository를 만들어 정상적으로 push를 하였다.
이외에도 문제가 하나 더 있었는데 우리 팀이 fork 한 RotaruDan/SolarSystem 프로젝트 내의 sln 파일명, vcproj 파일명이 공백문자가 포함 되어있었던 것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두 가지 방법과 의견을 찾았는데, 문희호 팀원이 제시한 의견은 공백문자를 허용할수 있는 명령어를 사용하여 프로젝트를 수행하자는 것이었고, 김준혁 팀장이 제시한 의견은 프로젝트 명을 아예 바꿔서 다시 push 하자는 것이었다. 수업에서 배운 공백문자 사용을 금하라는 지침에 따라 프로젝트 내부의 sln, vcproj의 공식 파일명을 바꾸기로 결정하였다. 결론적으로 프로젝트 명을 바꾸는 것에 성공하였고, 이 프로젝트를 다시 push 하였다.
문희호 팀원의 의견에 따라 각자 자기가 분석한 부분이 있으니, 다음 주 회의인 18일까지 각자 자신이 분석한 파일을 위주로 push와 pull을 연습하고, 연습이 완료되었을 때에 공식 Repository 인 OSS12에 push 되어있는 project를 활용하여 각자 로컬pc에서 pull하여 주석을 보강하고 다시 push를 하기로 하였다. 모든 팀원들이 문희호 팀원의 의견에 동의하였다. 5월18일 이전까지 주석을 보강하기로 결정하였고, 회의를 종료하였다.
회의시작 : 17:00 회의종료 : 21:30